사회 사회일반

"中企 출신, 공기업 취업때 가산점"

경기도, 경력 따라 내년부터 최고 10% 부여… 中企 인력난 해소 도움 기대

경기도는 도내 중소기업 근로자들이 공기업에 취업을 할 경우 가산점을 주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도는 8일 경기종합노동복지회관에서 김문수 경기도지사 주재로 경기도 노사민정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경기도노사민정협의회 운영활성화 ▦중소제조업종 장기근로자지원방안 ▦고용환경개선사업 관련 중소제조업 지원방안 ▦노사상생 우수기업선정 및 인센티브 부여 ▦중소기업근로자 채용 가산점제도 도입 등 6건이 논의됐다. 도는 중소기업 취업 기피에 따른 구조적 미스매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 산하 공공기관 직원 채용 시 중소기업 근무 경력자를 우대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도는 중소기업 근로자 채용 시 경력에 따라 2~10%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이 제도가 시행될 경우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가 다소 해결될 전망이다. 도는 가산점제도 도입에 대해 세부사항을 검토한 뒤 경기도시공사 등 26개 공공기관 채용규정을 모두 정비해 내년부터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가 선도적으로 가산점제도를 도입해 대기업이 동참할 경우 파급효과는 매우 클 것 이라고 도 관계자는 설명했다. 또 금속과 열처리 등 6개 3D업종에 섬유·염색·피혁·가구의 4개 업종을 추가한 10개 분야에 종사하는 장기근로자에 대해 장학금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밖에 자금부족으로 고용노동부가 추진하는 고용환경개선사업의 지원을 받기 어려운 도내 중소기업에 자금지원의 혜택을 줘 중소기업의 근로환경개선과 고용증진을 유도하는 경기도 자체 지원방안도 구체화해 시행할 예정이다. 이날 협의회에는 김 지사를 비롯해 박남식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의장, 조용이 경기경영자총협회장, 허원용 경인지방노동청장, 김기선 경기도의회 경제투자위원회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