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성장률 2∼3%대로 하향

테러여파 3분기 성장률 1% 미만 유력시정부가 미국 테러사태의 여파에 따라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사실상 2∼3%대로 하향조정했다. 이는 정부가 지난 7월 수정한 경제성장률 목표 4∼5%보다 크게 후퇴한 것이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23일 "미국 테러사태에 따라 세계경제의 침체국면이 길어지고 전쟁이 일어날 경우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미 내부적으로는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낮춘 상태"라며 "전쟁이 단기간에 그칠 경우 3%대, 장기전이 될 경우 2%대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재경부의 다른 관계자는 "이에 따라 3단계 비상경제대책(컨틴전시 플랜) 수립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이같은 전망을 국민들에게 알리고 이해를 구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진념(陳稔)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도 지난 20일 민.관합동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소비.투자심리의 위축으로 미국경제의 회복시기가 당초 예상했던 오는 4분기에서 최소한 2분기 이상 지연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경제성장률에 대한 우리의 기대도 세계 경제환경 변화에 맞춰나가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혀 경제성장률 목표 하향조정 의사를 내비쳤다. 재경부가 이처럼 경제성장률 목표를 낮춰 잡으려는 것은 미국 테러사태의 여파가 미친 일수가 20일 정도에 불과한데도 이번 3분기 성장률이 1% 미만으로 급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이미 지난 19일 임시 금융통화위원회에 제출한 보고자료에서 3분기 경제성장률 예상치를 당초 3.0%에서 0.5%로 대폭 하향조정했다. 재경부는 그러나 일각에서 우려하는 것처럼 3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전환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미국이 전쟁을 일으킨다면 그 여파가 4분기에 본격적으로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4분기 경제성장률이 만약 1% 아래로 떨어질 경우 올해 경제성장률은 2%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만약 전쟁이 단기간에 그칠 경우 지난해 4분기부터 경기가 조정국면으로 들어간 점을 감안하면 4분기 경제성장률은 2%대를 기록하면서 올해 경제성장률은 3%대가 될 것으로 재경부는 내다보고 있다. 한편 지난 1분기와 2분기의 경제성장률은 각각 3.7%와 2.7%를 기록했으며 정부는 지난해 말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6%로 책정했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