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북한 핵 프로그램 신고 임박"

힐 "6자회담 신고후 빠른시일내 열릴것"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는 19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북한의 핵 프로그램 신고가 임박했다”며 “신고가 정확히 며칠 뒤 혹은 몇 주 뒤에 있을지 말하기는 어렵지만 신고가 이뤄진 뒤 6자회담이 아주 이른 시일 내에 개최될 것”이라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이날 김숙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사이키 아키다카(齊木昭隆) 일본 외무성 아주국장과 3자 실무회동을 가진 뒤 “북한이 조만간 핵 프로그램을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에 신고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힐 차관보는 북핵 신고시점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오는 5월 말 또는 6월 초가 유력하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힐 차관보는 6자회담이 신고 후 곧바로 열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힐 차관보는 신고내용과 관련해 “패키지로 북핵의 모든 요소를 포함하게 될 것”이라고 밝혀 플루토늄뿐 아니라 북ㆍ시리아 간 핵 커넥션 의혹 및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등이 어떤 형태로든 포괄적으로 반영될 것임을 시사했다. 미 행정부로서는 북한이 핵 신고를 하면 이에 상응한 조치로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해제하고 적성국 교역법의 족쇄도 풀어줘야 하는 만큼 미 의회가 크게 반발하지 않도록 북핵 신고서의 완결성을 갖춰놓았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힐 차관보는 “북핵 신고 문제를 마무리하기 위해 6자회담 참여국인 중국과 러시아를 방문, 협상 진전상황에 대해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가 북핵 신고와 미국의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과정에서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도 주목된다. 사이키 국장은 “북한이 협조적으로 나오기를 바란다”며 대북 에너지 지원 등은 북한이 일본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는 그간 납치 문제의 진전 없이 미국이 북한의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를 서두르면 안 된다는 일본 정부의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