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신호대기때 변속기 중립에 두면 연료절감"

"신호대기때 변속기 중립에 두면 연료절감" 임웅재 기자 jaelim@sed.co.kr 신호대기 또는 정체 때 자동차 변속기를 '중립(N)'에 두면 '운행(D)'에 둘 때보다 연료를 18~38% 절약하고 온실가스ㆍ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40% 수준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는 휘발유ㆍ경유를 사용하는 국내 자동변속기 승용차 992만대(휘발유 766만, 경유 226만대)가 신호대기ㆍ정차 때마다 변속기를 중립에 두면 운행 위치에 둘 때보다 연간 17만7,100㎘의 연료를 절약하고 온실가스ㆍ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각각 44만6,200톤, 1,920톤 줄일 수 있다고 17일 밝혔다. 이를 통한 온실가스 저감량은 소나무 8,920만그루를 심는 효과와 맞먹는다. 승용차 1대당 연간 연료 절감량은 휘발유차 0.055ℓ(18%), 경유차 0.14ℓ(38%)로 추산됐다.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은 ▦휘발유차가 각각 128.4g(18%), 0.085g(34%) ▦경유차가 387.6g(39%), 3.25g(40%)을 적게 배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소는 통상 자동차로 출퇴근할 때 30초~3분 정도의 신호대기가 있고 정체구간에서 5분 이상 멈춰서 있기도 한다는 점을 감안, 하루 20분(2분씩 10회)의 신호대기가 있다는 가정에서 이번 조사를 했다. 운행은 엔진과 구동축에 동력이 연결돼 있는 상태, 중립은 동력이 끊어진 공회전 상태를 말한다. 김종춘 연구소장은 "자동변속기 자동차가 신호대기ㆍ정체로 정지해 있을 때 변속기를 중립에 두는 습관만 들여도 (운행 위치에 둘 때보다) 차종에 따라 온실가스를 18~39%, 대기오염물질을 34~40% 적게 배출하고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연료를 18~38% 절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