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産·學·硏 기술개발사업 지역 中企위주재편

참여기업 현금출자 부담 줄인다<br>20%서 15%로 낮춰…현물 비중은 10%로 확대


산ㆍ학ㆍ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이 수요자인 지역 중소기업 위주로 개편되고 기업의 현금출자 부담도 줄어든다. 중소기업특별위원회는 8일 산ㆍ학ㆍ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참여 중소기업의 부담금(총 개발사업비의 25%) 가운데 현물출자 비중을 올해부터 총 사업비의 5%에서 10%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실험실 기자재, 부품ㆍ소재 등 현물로 충당할 수 있는 사업비 비중이 높아지면 현금부담은 총 사업비의 20%에서 15%로 감소한다. 산ㆍ학ㆍ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이 현장 애로기술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대학-기업 컨소시엄의 경우 지자체와 기업이 총 사업비의 25%씩을 부담한다. 반면 연구소-기업 컨소시엄의 경우에는 기업이 25%를 부담하고 나머지는 중소기업청이 지원한다. 한편 중기청은 공동기술개발 과제 1건당 총 사업비를 기술의 난이도 등을 기준으로 ▦현장애로기술 개발 2,000만원 ▦신기술ㆍ신제품 개발 5,000만원 등으로 차등화하기로 했다. 사업 참여신청 주체도 애로기술 개발 수요자인 중소기업이 맡도록 했다. 중기청 관계자는 “지금까지 대학ㆍ연구기관이 공동기술개발사업을 주도하는 바람에 사업화 가능성이 낮은 기술, 기술개발 의지가 적은 중소기업에 자금이 지원되는 문제가 있어 올해부터 사업 추진체계를 바꾸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중기청은 곧 사업신청 공고를 한 뒤 5월 말 지원대상 과제를 선정해 올해 601억원(중기청 421억원, 지자체 18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난 해에는 2,800개 업체를 선정해 549억원(중기청 391억원, 지자체 158억)을 지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