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자전거 사고 느는데… 서울시 정책은 오락가락

연평균 33명 목숨 잃어<br>도로정비에 혈세 낭비


서울시의 자전거 정책이 갈팡질팡하면서 자전거 관련 사고로 연평균 33명이 숨지고 2,700여명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서울시가 서울지방경찰청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4년간 총 133명이 자전거 사고로 사망해 연평균 33명이 목숨을 잃었다. 연도별 사망자 수는 2007년 25명, 2008년 29명, 2009년 45명, 2010년 34명을 나타냈다. 또 부상자 수는 2007년 1,951명, 2008년 2,840명, 2009년 3,195명, 2010년 3,075명으로 연평균 2,765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07~2008년 20명대에 머물렀던 사망자 수는 30명대를 나타내고 있고 2,000명대에 그쳤던 부상자 수도 3,000명을 웃돌고 있다. 이처럼 서울시 자전거 사고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자전거 정책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기열 서울시의회 의원은 "서울시는 2009년부터 자전거도로 사이에 안전펜스 등을 설치하는 방안을 마련해왔다"며 "하지만 이달 초 이미 설치된 안전펜스와 차로 규제봉, 연석을 점진적으로 제거하는 등 오락가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박 의원은 "서울시의 정책 변경은 자전거 이용자가 아니라 자동차 이용자를 위한 정책이며 이는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을 더욱 위협하게 될 것"이라며 "자전거도로 설치에 막대한 예산을 쏟고 다시 제거작업을 벌인다면 자전거도로에 이 중으로 시민들의 세금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