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박근혜 코드, 바뀌나

장관에 인사권 대폭 위임·주요 인선, 당과 협의…

소통 부재 등에 지지율 추락

국정운영 스타일 변화 조짐

박근혜 대통령이 2기 내각 출범을 계기로 국정운영 스타일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4월16일 터진 세월호 참사 이전 70%에 달했던 국정수행 지지율이 40%대로 뚝 떨어진 것은 비밀주의에서 비롯된 부실 인사와 새누리당, 부처 장관들과의 소통 부재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만큼 인선과 소통 분야에서 새로운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20일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후임 장관 등 주요 인선작업을 진행할 경우 앞으로는 새누리당 지도부와 의견을 나누고 조언을 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르면 이번주 초 공석인 신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내정할 것으로 알려졌는데 최종 내정에 앞서 새누리당 지도부에 의견을 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부처 장관들에게 인사권한도 대폭 위임할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의 과도한 인사개입이 개별 부처의 인사적체를 심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개별 부처의 실·국장급 전보인사에 대해서는 장관에게 전권을 주겠다는 것이다. 금융 공기업의 한 고위관계자는 "청와대가 실·국장 인사까지 틀어쥐면서 장관들이 인사를 할 수 있는 여지가 거의 없었고 인사적체만 양산하는 부작용을 초래했다"면서 "실·국장급 승진 인사에 대해서는 청와대가 직접 챙기겠지만 전보 인사에 대해서는 부처 장관이 전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청와대가 장관들에게 고위 공무원에 대한 전보인사 재량권을 주는 것은 관피아(관료+마피아) 척결로 관료들의 유관 및 산하기관 진출이 사실상 불가능해지고 인사적체도 나타나고 있는 만큼 전보조치를 통해 인사에 숨통을 틔우겠다는 의도를 담고 있다. 또 박 대통령이 집권 초기 국민들에게 약속했던 책임장관제를 실현하겠다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장관·수석비서관과의 대면보고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장관들로부터 보고를 받을 때는 독대(獨對)를 하지 않고 해당 수석비서관을 배석시킨다. 관련 정책이나 정보를 장관과 수석비서관이 공유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청와대 관계자는 "2기 내각은 민생경제 회복, 국가 대혁신 등 핵심 국정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나가야 하기 때문에 앞으로 박 대통령이 장관·수석비서관들과의 대면보고를 더욱 늘릴 것으로 보인다"면서 "스킨십·인선 등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스타일에도 변화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