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곽중보의 기술적분석] 2. 기술적 분석의 첫째는 방향

이동평균선으로 미래 주가 예측 가능<br>우상향땐 상승·우하향땐 하락에 무게

SetSectionName(); [곽중보의 기술적분석] 2. 기술적 분석의 첫째는 방향 이동평균선으로 미래 주가 예측 가능우상향땐 상승·우하향땐 하락에 무게

기상청이 최근 부정확한 겨울철 눈 예보로 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다. 군생활 중 날씨를 예보한 경험이 있는 입장에서 겨울철 눈을 정확히 예측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알고 있기에 안타까운 마음이 크다. 주가를 전망하는 일 역시 미래를 가늠해 본다는 점에서 일기예보와 유사한 점이 많다고 생각된다. 기술적 분석에서 얻고자 하는 첫 번째 정보는 주가의 방향이다. 100% 확률로 방향을 맞출 수만 있다면 선물투자를 통해 1년 안에 세상에서 제일가는 부자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기술적 분석을 통해 그만큼의 재산을 축적한 사람이 없는 걸 보면 미래 주가 방향을 맞춘다는 것이 결코 만만치 않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쉽게 방향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는 방법은 HTS프로그램의 차트에 그려져 있는 이동평균선 값들을 보는 것이다. 이동평균선은 중·고등학교 받았던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의 평균과 유사하다. 다만, 주식시장에서는 시장이 열릴 때마다 봉 데이터가 하나씩 추가되기에 평균이 이동하여 이동평균선이라고 이름을 붙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5, 20, 60, 120, 200 이렇게 5개의 이동평균선이 차트에 띄워져 있는데 이는 각 봉들의 5개, 20개, 60개, 120개, 200개 종가의 평균이 된다. 투자자들 마다 사용하는 차트 주기에 따라 5일 이동평균선이 될 수도, 5주 이동평균선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활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이동평균선이 우상향 하면 해당 기간 동안 주가의 평균값이 상승하게 되므로 과거 흐름이 계속 이어진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주가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해보는 것이다. 반대로 우하향 하면 주가의 평균값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므로 이 같은 흐름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곽중보의 기술적 분석] 전체기사 보기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