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용산 개발 3000억 조달 사실상 무산

코레일, ABCP 발행 거부… 최종결정 이사회에 위임

용산국제업무지구 자금난 해소를 위해 추진하려던 3,000억원 규모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발행이 사실상 무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코레일은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시행사인 드림허브PFV가 ABCP 발행을 위해 요청한 반환확약서 제공안건을 18일 열린 경영전략위원회에서 논의한 결과 반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코레일 관계자는 "드림허브가 제공한 자금조달 계획 등을 심의한 결과 현실성이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코레일 측은 참석 위원 모두가 반환확약서 제공에 반대 의사를 밝혔지만 중요한 사안인 만큼 일단 안건을 오는 21일 개최되는 이사회에 상정해 의결을 거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의 운명은 21일 열린 코레일 이사회에서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경영전략위원회 위원들이 전원 반대 의사를 밝힌 만큼 이변이 없는 한 반환확약 제공을 통한 ABCP 발행은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안건이 이사회를 통과하지 못하면 드림허브의 ABCP 발행은 사실상 어려워진다. 드림허브는 지난 7일 이사회에서 토지주(용산철도차량기지)인 코레일이 돌려줘야 할 토지대금과 기간이자 3,073억원을 담보로 한 ABCP 발행을 의결했지만 여기에는 코레일의 반환확약서가 필수이기 때문이다.

코레일 이사 구성이 외부 비상임이사가 8명으로 상임이사(5명)보다 많기 때문에 비상임이사들의 의견이 코레일과 다르다면 반환확약서 제공이 이뤄질 수도 있지만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 업계의 판단이다.

코레일은 다만 2,5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발행에 대해서는 다른 출자사들이 1,800억원을 분담한다는 조건부로 지분율인 25%에 해당하는 625억원을 책임질 의사가 있다는 입장이다. 또 모든 출자사가 CB에 동참한다면 랜드마크 2차 계약금과 매출채권 유동화 지원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코레일은 이날 드림허브가 요청한 '단계개발' 계획 공개에 대해 "단계적 개발의 수용의사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관련한 계획 수립은 드림허브가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