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계약학과' 운영비 지원 두배 늘린다

정부, 청년일자리 대책 후속조치… 고용디딤돌 지원 사업 훈련 전분야로 확대

정부가 대학과 기업이 산학협력을 통해 맞춤형 교육을 시행하는 '계약학과'에 대한 운영비 지원금액을 기존보다 2배 수준으로 인상하기로 했다. 청년 취업을 대폭 늘리기 위해 기능·기술직종에만 한정됐던 '고용디딤돌 지원사업'의 훈련 분야는 전분야로 확대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교육부 등 관계부처는 지난 7월 발표한 '청년 고용절벽 해소 종합대책'의 후속 조치로 이 같은 내용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우선 정부는 내년부터 '고용디딤돌 지원사업'을 신설하고 기능·기술 직종에만 한정됐던 훈련 분야를 마케팅 등 전분야로 확대하기로 했다. 고용디딤돌 사업이란 대기업이 협력업체, 지역 기업 등과 함께 청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직업훈련을 시행하고 취업으로 연계하는 프로그램이다. 지난 7월 정부의 대책 발표 이후 삼성과 현대·SK·LG·한국전력 등 대기업과 공공기관이 도입계획을 발표하는 등 최근 급물살을 타고 있다.

관련기사



사회맞춤형 학과인 '계약학과'에 대한 지원도 확대된다. 계약학과는 대학과 기업이 맞춤형 교육과정을 신설해 졸업 후 관련 분야로 취업을 연계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부는 현행 중소기업과 이공계 분야에 한정된 계약학과 운영비 대상을 중소·중견기업과 전 분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학기당 교육생 1인에게 평균 37만원씩 지원하던 운영비를 2배 수준인 74만원까지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기업이 의무적으로 절반을 부담해야 하는 계약학과 운영비를 연구·실습기자재 등 현물로도 지급할 수 있도록 해 기업 부담을 낮추는 방안도 새롭게 반영했다.

한편 정부는 최근 대기업이 전국 17곳에 설립한 창조경제혁신센터 내에 '고용존'을 설치해 청년 구직자와 인력 수요 간 매칭을 지원하기로 했다. 청년구직자가 고용디딤돌과 사회맞춤형 학과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을 통해 맞춤형 홍보도 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현장 중심의 교육·훈련을 확산시켜 청년 일자리 기회 확대와 인력수급 미스매치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올 하반기 중 관련 지침 정비를 완료해 관련 사업을 차질없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