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원인불명 폐렴 사망자 5년간 472명

국내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폐렴으로 지난 2003~2007년 5년동안 472명이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발생한 산모 사망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급성 간질성 폐렴'의 사망자도 24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16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학술위원회에 따르면 2003년 1월부터 2007년 12월 사이에 전국의 병원에서 원인불명의 '특발성 간질성 폐렴(IIP)'으로 진단받은 환자 2,186명을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한 결과, 이중 472명(21.5%)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특발성 간질성 폐렴 환자를 질환 별로 보면 만성에 속하는 '특발성 폐 섬유화증(IPF)'이 1,685명(77.1%)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비특이적 간질성 폐렴(NSIP)' 261명(11.9%), '특발성 기질화 폐렴(COP)' 186명(8.5%) 등의 순이었다. 또 폐가 딱딱하게 굳는 섬유화가 급속도 진행되는 '급성 간질성 폐렴(AIP)' 환자도 24명(1.1%)으로 나타났으며 24명 중 10명이 사망해 41.7%의 높은 사망률을 기록했다. 증상으로는 질환에 관계없이 모든 환자에게서 운동시 호흡곤란(67%), 기침(61%), 객담(32%) 등의 순으로 많았다. 환자의 발병연령은 11세부터 94세까지로 다양했으며 평균 나이는 65세였다. 남녀 성비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2배 가량 많았다. 연구팀은 이 같은 사망자 분석을 바탕으로 급성 간질성 폐렴 환자와 특발성 폐 섬유화증의 3년 생존율을 각각 57%, 62%로 추산했다. 주목할만한 점은 간질성 폐렴 중 환자가 가장 많은 특발성 폐 섬유화증의 경우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치료법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자의 3분의 1에서 특별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아 향후 효과적인 약물개발이 필수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전문가들은 급성 간질성 폐렴의 질환추이와 원인 등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