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귀순 4명 직업, 간호사ㆍ통계원ㆍ선장ㆍ무직

현 장관, “4명 귀순, 중대한 도발로 보지 않아” 반박

지난달 5일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북한 주민 31명(남성 11명, 여성 20명)중 귀순 의사를 밝힌 4명 중에는 간호사와 통계원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통일부는 4일 “정부 합동조사기관이 합동신문을 통해 북한 주민은 조개잡이 중 짙은 해무로 인한 항로착오로 남하했다고 파악한 것으로 통보해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통일부는 또 “남하한 사람은 대부분 황해남도 해주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이라고 전했다. 이중 귀순을 희망한 4명은 선장 옥모(38ㆍ해주)씨를 비롯해 통계원 박모(여ㆍ22ㆍ해주)씨, 간호사 봉모(여ㆍ21ㆍ해주)씨, 무직 홍모(44ㆍ강원 원산)씨 등 남녀 각각 2명이다. 합동조사기관은 조사기간이 길었던 이유에 대해 “인원이 31명이나 됐고 통상적으로 한 달 가량 조사기간이 걸린다”고 해명했다고 통일부가 전했다. 당국은 일부에서 제기하는 귀순 회유설에 대해서는 “귀환하지 않는 4명은 본인들이 자유의사에 따라 우리측에 남기를 희망했으며 이에 따라 귀환하지 않은 것”이라며 “31명 전원이 귀환하려고 했으나 우리측 회유에 의해 일부가 잔류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도 이날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업무보고에 출석해 4명이 귀순 의사를 밝힌 것과 관련, “정부는 이들의 자유의사를 따라서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들을 상대로 귀순 공작을 했느냐”는 한나라당 윤상현 의원의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특히 북한이 “용납할 수 없는 반인륜적 행위이자 중대도발”이라고 비난한 데 대해서도 “중대 도발로 보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어 북한이 군사실무회담을 비롯해 국회회담, 적십자회담 등을 제의하고 있는 목적을 묻는 질문에 “일종의 대화 공세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