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MMF, 장기국채 편입 '신경전'

정부 "물량 일부라도 소화 해달라" 러브콜<br>자산운용사 "FRN은 유동성에 문제" 난색

머니마켓펀드(MMF)의 장기국채 편입을 놓고 정부와 자산운용업계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정부는 대규모 국채발행을 앞두고 126조원이나 몰려 있는 MMF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지만 정작 자산운용업계에서는 정부가 발행을 검토 중인 변동금리부채권(FRN)의 유동성 문제를 들어 난색을 표하고 있다. 정부는 MMF가 대규모 추경을 위한 국채발행 물량을 일부라도 소화해주길 바라며 사전 정지작업을 착착 진행해왔다. 금융위는 5년짜리 국채도 소화할 수 있도록 MMF의 투자 대상 채권을 최대 만기 5년짜리까지 늘리는 방안을 마련했다. 또 MMF가 잔존만기(듀레이션) 90일 이내 채권밖에 편입하지 못하는 점을 감안해 국채도 변동금리부채권(FRN)으로 발행할 것으로 검토 중이다. FRN은 3개월마다 금리가 시중금리(CD금리)에 연동해 재설정되기 때문에 채권의 잔존만기(듀레이션)는 최대 90일이다. MMF 편입을 위한 필요조건은 다 갖춰놓은 셈이다. 그러나 정부가 이렇게 MMF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지만 자산운용업계의 반응은 썰렁하다. 가장 큰 이유는 FRN은 시중에서 거의 거래가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MMF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갈 경우 누가 MMF에 편입돼 있던 FRN을 사줄지 의문이라는 것. 한 자산운용사의 채권매니저는 “FRN을 거래해본 지가 3년이 넘은 거 같다”며 “그만큼 시중에 유통이 거의 되지 않는 채권”이라고 말했다. 그는 “MMF의 경우 수시로 거액의 자금이 들어오고 나가기 때문에 편입 채권의 유동성이 가장 중요한데 FRN은 유동성 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채권매니저는 “FRN의 경우 가격산정도 애매하다. 채권 평가사들이 가격을 산정해주고 있지만 정작 시장에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어 매니저들이 편입을 꺼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의도와는 달리 MMF로의 장기 국채 편입이 구색 맞추기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대형 운용사의 한 채권운용담당자는 “지금 같은 상황이라면 운용사들이 눈치보기식으로 마지못해 투자할 수밖에 없다”며 “대규모 물량을 소화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