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종교인 오래 살고 언론인 단명"

원광대, 11개 직업군 수명 분석<br>종교인 스트레스 적고 과욕없어

종교인이 가장 장수하고 작가ㆍ언론인이 단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종인 원광대 보건복지학부 교수팀은 국내 11개 직업군별 평균수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김 교수팀은 지난 1963~2010년 48년간 언론에 난 3,215명의 부음기사와 통계청의 사망통계자료 등을 바탕으로 연구를 실시해 최근 한국보건복지학회에서 발간하는 '보건과 복지' 최근호에 관련 논문을 게재했다. 연구팀은 직업을 ▦종교인(승려ㆍ신부ㆍ목사 등) ▦연예인(배우ㆍ탤런트ㆍ가수ㆍ영화감독) ▦정치인(국회의원ㆍ시도지사 등) ▦교수 ▦고위공직자(장관ㆍ차관ㆍ정부기관 관료 등) ▦기업인(기업 회장ㆍ임원 등) ▦예술인(도예ㆍ조각ㆍ서예ㆍ음악 등) ▦체육인(운동선수ㆍ코치ㆍ감독 등) ▦작가(소설가ㆍ시인ㆍ극작가 등) ▦언론인(기자ㆍ아나운서) ▦법조인(판사ㆍ변호사ㆍ검사 등) 등 11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경찰과 군인ㆍ의료인 등은 표본 수가 적고 사고 등의 사망이 많아 이번 분류에서 제외됐다. 전체 직업별 평균수명은 종교인이 80세로 가장 높았고 정치인(75세), 교수(74세), 기업인(73세), 법조인(72세), 고위공직자(71세), 연예인ㆍ예술인(각 70세), 체육인ㆍ작가ㆍ언론인(각 67세) 등이 뒤를 이었다. 연구팀은 종교인이 장수하는 이유로 ▦신체적으로 규칙적인 활동과 정신수양 ▦정신적으로 가족관계에 따른 스트레스가 적고 과욕이 없음 ▦사회적으로 절식ㆍ금연ㆍ금주의 실천 ▦상대적으로 환경오염이 적은 곳에서의 생활 등을 꼽았다. 김 교수는 "1960년대에 비해 2000년대 들어 종교인과 다른 직업군의 수명격차가 줄어든 것은 사회적으로 건강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금연과 절주 노력을 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