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사회적 기업 투자, 대기업 힘 모았다

60억 규모 펀드 조성… SK·삼성 10억 등 민간투자만 35억

SKㆍ삼성 등 대기업이 사회적기업 투자에 적극 나선다.

고용노동부는 60억원 규모의 제3호 사회적기업 투자조합이 결성돼 본격적으로 운용하기 시작한다고 27일 밝혔다.

사회적기업 투자조합은 사회적 가치와 성장 가능성이 높지만 자본조달이 어려운 사회적기업에 자금을 공급하고 전문투자기관의 컨설팅을 통해 사회적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펀드조합이다.


이번 제3호 투자조합에는 대기업이 대거 참여했다. SK그룹은 행복나래 5억원, 행복나눔재단 5억원 등 10억원을 출자했고 삼성그룹 역시 삼성전자 6억원, 삼성디스플레이 2억원, 삼성전기 1억원 등 총 1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우리은행 8억5,000만원, 포스코그룹 6억5,000억원까지 더하면 민간투자만 35억원에 이른다. 나머지 25억원은 고용노동부가 출자했다.

관련기사



민간투자액 35억원은 지난해 제2호 조합의 15억원보다 두 배 이상 뛰어오른 것으로 덕분에 전체 투자액 규모도 40억원에서 60억원으로 증가했다.

이번에 모은 투자펀드는 투자운용사 ㈜포스텍기술투자가 4년 투자, 4년 회수 등 총 8년간 책임지고 투자, 운용한다. 투자액의 60% 이상은 사회적기업과 예비 사회적기업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사회공헌도가 높은 중소기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제1호, 제2호 투자조합의 펀드는 올해 말까지 취약계층을 위한 실내난방텐트를 생산하는 바이맘, 취약계층 교육과 강연 사업을 하는 마이크임펙트 등 6개 사회적기업에 19억원을 투자했다.

신기창 고용부 인력수급정책국장은 “민간출자자의 투자가 확대된 것은 사회적기업의 가치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며 “사회적기업 투자조합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가진 사회적기업을 발굴ㆍ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