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청약률 상승, 미분양 감소, 집값 상승 등 최근 주택시장 회복의 원인에 대해 전문가들은 정부 규제정책의 차별성에서 찾고 있다.
강남권에 대해서는 재건축 개발이익환수제ㆍ층고제한 등 규제의 강도가 계속 강화되고 있지만 비강남권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대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건교부도 강남권 재건축 단지 등 비정상적인 가격거품은 반드시 걷어내겠다는 의지가 확고하지만 그외 지역의 정상적인 시장 흐름은 문제가 없다는 게 내부 방침이다. 즉 시장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는 물가상승분 정도의 집값 상승은 오히려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셈이다.
그 동안 강남권에 비해 소외됐던 지역의 보상심리도 최근 집값 상승을 움직이는 요인으로 보인다. 1년여 가까이 집값이 제자리걸음 내지는 후퇴함에 따라 이제는 집값이 움직이지 않겠느냐는 기대심리가 확산되고 있는 것.
김영진 내집마련정보사 사장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때문에 시장에서 가수요로 인식되는 투자수요는 움직임이 거의 없다”며 “비강남권의 집값 상승은 내집마련이나 집을 늘리려는 대체수요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기존 주택이나 신규 분양시장을 중대형 평형이 주도하고 있는 것도 ‘이제 집을 늘려도 될 때’라고 인식한 대체수요가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투자자들의 시야가 넓어지고 있는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강남권에 잇따르고 있는 ‘악재’와 달리 행정복합도시, 뉴타운개발, 재개발규제 완화, 판교 및 판교급 신도시 개발 등 비강남권에는 호재가 풍부해 투자자들이 대상지역을 넓히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 같은 움직임이 전방위적인 집값의 급등세를 불러일으키기는 힘들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분석이다. 무엇보다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난 집값 상승에 대해서는 언제든 개입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강력한데다 가수요가 관망세를 보이고 있는 한 단기 급등은 일어나지 않을 전망이다.
따라서 수요자들도 지나친 기대심리를 갖기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내집마련과 안정적 투자수익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함께 투자대상 지역 역시 정부 정책에 쉽게 요동칠 수 있는 강남권 등 인기지역 일변도에서 벗어나 5~10년을 내다보는 시각으로 골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