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중국 이곳에선] 관세인하 불구 수입차값 강세

◇수입차 공급 여전히 역부족= 2003년 1월1일부터 수입차 관세가 또 인하됐으나 수입자동차의 가격은 대폭 하락하지 않았다. 중국 수입자동차무역센터의 딩훙샹(丁宏祥)부총경리는 이에 대해 “수입차가격은 관세, 환율, 허가증, 수입차 수요와 중국산 자동차 등 5개 요소에 의해 결정되며 올 수입자동차관세 하향조정의 영향은 환율 등 기타 요소의 변화로 희석됐다”고 설명했다. 관계자들은 하지만 지난 2002년 수입된 자동차의 허가증 기한이 곧 다가오면서 3월 들어 집중 통관으로 인한 수입자동차가격이 다소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상하이 평균 집값 평당 4,700위엔= 2002년 상하이시 상품주택의 평균 예상가격은 평당 4,700 위엔이며, 이 가운데 중저가 주택인 3,000~5,000 위엔 짜리 주택이 55.5%를 차지했다. 지난해 상하이시의 상품주택은 지역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통계에 따르면 黃浦, 靜安, 長寧, 盧灣, 徐匯 등 5개지역의 평균가격은 6,000위엔 이상, 嘉定, 靑浦, 奉賢, 崇明, 金山 등 5개 지역은 3,000위엔 이하였다. 상하이시 상품주택 공급량은 별장과 시중심지역의 6,000위엔 이상인 주택의 공급이 비교적 많았으며, 중저가의 아파트는 공급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용수 사용쿼터제 2005년 시행= 중국은 지난 6일 용수 사용이 가장 많은 5개 산업에 대해 산업용수 쿼터를 지정해 2005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며, 이 쿼터에 적용되는 기업들은 2년의 유예기간을 갖게 된다고 중앙정부 관계자가 밝혔다. 차이나데일리는 국가경제무역위원회(國家經貿委) 자원보존부 자오룽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중국 내 전력, 철강, 석유정제, 염색 및 제지산업이 용수 사용에 제한을 받게 될 전망이며 이들 5개 산업이 1999년 총 산업용수의 66.6%를 사용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쿼터에 대한 세부사항이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두달전 발표된 초안에 따르면 철강 1톤을 생산하는데 사용가능한 용수가 15톤으로 제한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중국 기업들은 현재 1만위엔(1,200 달러)의 산업생산에 90톤의 용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선진국 평균수준보다 7배 많은 것이며, 아울러 재활용되는 용수는 52%에 그치고 있어 선진국의 80%에 훨씬 못 미치고 있다고 신문은 밝혔다 ◇유행 패션 컨셉트는 `귀엽고 깜직하고`= 상하이의 명동이라 할 수 있는 화이하이루(淮海路)나 쉬쟈후이(徐家匯)를 걷다 보면 귀여운 소녀 같은 스타일의 젊은 여성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소위 `메이메이(美眉)`라고 불리는 상하이의 10, 20대들 사이에서 요즘 유행하는 패션은 `귀엽고 깜직한` 스타일이다. 이들은 가방이나 액세서리에서 헤어스타일까지 모두 초등학교 학생처럼 어려 보이게 꾸미고 다닌다. 립스틱이나 매니큐어도 연한 핑크색을 주로 사용한다. 며칠 전에는 상하이 모 대학의 여학생이 젖병을 달고 다닌다는 기사가 나와 눈길을 끈 적이 있다. 주위 사람들의 시선이 그리 곱지만은 않았는데도 아랑곳하지 않고 당당하게 거리를 활보하더라는 것. 오히려 여러 사람들 속에서도 금세 눈에 띄는 점이 마음에 든다고 전했다. 이런 것만 봐도 최근 상하이 사람들의 사고방식이 참 많이 변했음을 느낄 수 있다. 예전 같으면 학교측에서 먼저 나서서 그 여학생의 차림새를 두고 한마디했을 법한데 지금은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다고 한다. 젊은 이들은 자신의 개성을 추구하는데 전혀 거리낌이 없고, 기성세대들은 그런 젊은이들의 개성을 자연스럽게 존중해 주는 분위기가 어느새 조성돼 있는 것이다. [자료제공=KOTRA] <김민열기자 mykim@sed.co.kr>

관련기사



김민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