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가R&D 대표적 성과 통증치료제 '정작 신약개발은 외국社와…'

'1호 국가 과학자' 신희섭 박사의 고뇌<br>글락소스미스클라인등 다국적 제약사만<br>'멀티 버스터' 확신 잇따라 공동연구 제안<br>국내업체는 여력 부족…하고싶어도 못해



국가R&D 대표적 성과 통증치료제 '정작 신약개발은 외국社와…' '1호 국가 과학자' 신희섭 박사의 고뇌글락소스미스클라인등 다국적 제약사만'멀티 버스터' 확신 잇따라 공동연구 제안국내업체는 여력 부족…하고싶어도 못해 이재철기자 humming@sed.co.kr 관련기사 • 정부 과감한 지원없인 국내社 생사기로 "함께 손을 잡고 싶어도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투자능력과 기술력을 갖춘 국내 제약사는 사실상 없는 상태입니다." '대한민국 1호 국가과학자'로 유명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신희섭(57ㆍ사진) 박사는 지금 심각한 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다. 세계적 연구 성과로 평가받고 있는 그의 뇌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한 통증치료제 개발이 가시화되자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머크(MSD) 등 거대 다국적 제약사들이 잇따라 공동연구를 제안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KIST에 따르면 현재 신 박사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개발이 진행 중인 통증치료제는 통증이 수반되는 모든 질환에 적용될 수 있는 획기적 신약이다. 단일 품목으로 매출 10억달러 이상을 달성하는 이른바 '블록버스터 신약'을 뛰어넘어 '멀티(Multi) 블록버스터 신약'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세계적 과학저널인 '의화학저널(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은 5월31일자 인터넷판에 통증치료제 분야에 대한 4편의 논문을 특별 게제하고 미래 통증치료제 분야가 막대한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국내 제약사들은 신 박사의 연구성과를 둘러싼 다국적 제약사들의 경쟁을 멀찌감치 떨어져 바라볼 뿐이다. 신 박사는 국가적 지원을 받아 연구성과를 얻은 만큼 국내 제약사와 손잡고 신약개발을 하고 싶지만 열악한 국내 제약산업의 현실을 감안할 때 그의 소망은 이뤄지기 어려울 전망이다. '황금알'이 보이는 시장임에도 국내 제약사들은 신약개발 투자에 뒤따르는 리스크를 감당할 여력이 없어 신 박사에게 선뜻 공동연구를 제안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KIST의 한 책임연구원은 "현재 중추신경계(CNS) 쪽에 일부 경험이 있는 국내 SK제약이 유일하게 관심을 표명하고 있지만 GSK와 같은 다국적 제약사들처럼 10~20년 동안 수익도 나지 않은 상황에서 안정적인 투자를 할 수 있을지는 사실 의문"이라고 설명했다. 과학기술부 등에 확인한 결과 신 박사 연구 사례뿐 아니라 다른 신약개발과 연관된 정부 연구개발(R&D) 사업도 거의 외국계 제약사와 공동연구로 추진될 전망이다. 국민의 세금을 쏟아 부어 이룬 연구성과가 국내 제약산업의 현실장벽에 막혀 줄줄이 외국계 제약사들 손으로 흘러 들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이 때문에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재주는 곰(한국 정부 및 연구기관)이 부리고 돈은 주인(다국적 제약사)이 챙긴다"는 탄식이 흘러나오고 있다. 입력시간 : 2007/05/31 17:4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