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한전부지 개발이익 환수 구멍] 유휴지 합리적 개발 위해 용적률 높여주되 기부채납 등 공공기여로 특혜시비는 없애

■ 사전협상제도란

서울승합차고지 등 적용 성공

서울시가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 종(種) 상향을 위해 적용할 예정인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제도는 용도지역 체계를 보다 유연하게 적용하기 위한 제도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 시절인 2009년 도입된 이 제도는 서울시내 1만㎡ 이상 대규모 유휴부지의 합리적 개발을 위해 용도지역 변경을 쉽게 해준다는 내용이 골자다. 대신 사업계획이 결정되기 이전에 사업자와 공공이 협상을 통해 구체적인 개발방안과 기부채납 등 공공기여 규모 등을 결정하게 된다. 쉽게 말해 사전협상을 통해 용적률을 높여주되 공공기여를 통해 이익을 환수, 특혜시비를 없애겠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현재까지 사전협상제도를 통해 개발에 성공한 곳은 강동 서울승합차고지를 비롯해 용산관광버스터미널, 마포 홍대역사 등 3곳이다. 첫 사례인 서울승합차고지는 고덕동 210-1일대 1만5,900㎡ 규모의 부지로 당초 버스차고지로 사용하다가 2002년 차고지 이전 후 용도변경이 되지 않아 10년간 방치돼왔다. 2010년 관련 법안이 마련된 후 협상이 급물살을 탔고 2012년 10월 개발계획이 심의를 통과했다. 버려졌던 땅은 계획에 따라 준주거지역으로 종 상향돼 지상 35층 높이의 복합건물 3개동이 들어선다.

경의선 지하화를 통해 유휴부지가 만들어진 홍대역사(2만794㎡)에도 사전협상제도를 통해 대규모 쇼핑센터와 500실 규모의 비즈니스호텔이 들어선다. 자동차 터미널 용도였다가 15년 넘게 전자상가로 운영해온 용산관광버스터미널(1만8,953㎡) 부지 역시 이 제도를 통해 국내 최대 규모의 비즈니스호텔(1,729실)과 상업·업무시설로 변모한다.

반면 사업제안서를 냈던 10곳 중 나머지 7곳은 아직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진 못한 상황이다. 공공기여 규모를 놓고 서울시와 사업자 간 이견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100층 규모의 글로벌 비즈니스센터로 개발될 것으로 기대됐던 뚝섬 삼표레미콘 부지는 현대자동차그룹이 사실상 개발을 포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