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與 개헌 의총은 개헌논의 촉발? 소멸?

친이-친박 권력투쟁 불가피

한나라당이 7일부터 오는 10일까지 3일간 개헌 문제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를 연다. 본격적으로 개헌 논의를 촉발할 계기가 될지, 아니면 이를 계기로 논의가 수면 아래로 사라질지 결과가 주목된다. 내년 총선ㆍ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개헌이 여권 내부 권력투쟁을 당기는 효과를 낳을 수 있어 어떤 결과로 귀결되든 적잖은 파장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세종시 수정안 문제로 벌어진 친이(친이명박)ㆍ친박(친박근혜)계 간 대립이 과학비즈니스벨트 문제와 맞물리며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런 상황에서 친이계의 개헌론 군불때기는 계속됐다. 친이계 모임인 '함께 내일로'는 지난 6일 이재오 특임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공개 모임을 열었다. 이들은 의총에서 지도부에 당내 개헌TF 및 국회 개헌특위 구성을 제안하고 이를 관철시키기 위한 세 확산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드라이브는 이명박 대통령이 1일 신년좌담회에서 개헌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여기에 힘을 싣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친이계가 친박계에 대항할 결속력을 만들기 위해 개헌을 지렛대로 삼으려는 의도도 나타난다. 하지만 친박계와 야권이 반대하면 논의조차 제대로 할 수 없다는 게 한계다. 당장 친박계 의원 50여명이 의총에 불참할 경우 개헌 논의는 힘을 잃을 수밖에 없다. 친박계 의원들은 '무시 전략' 아래 집단적 보이콧할 생각은 없으나 개헌 드라이브에 대해 의혹을 거두지는 않고 있는 형국이다. 이성헌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친이ㆍ친박 간 특별한 차이가 없다"며 "일부 특정 세력이 그 문제를 거론하는 것이고 이 문제를 자꾸 계파적인 시각으로 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민주당에서도 "개헌은 친이계의 생존전략"이라며 개헌특위 참여는 없다고 못박아둔 상태다. 친이계에서도 구제역, 전월세 대란 등 민생 문제와 동떨어진 개헌 논의에 대해 내부 균열을 보이는 모양새다. 6일 열렸던 '함께 내일로'모임에는 전체 회원 70명 가운데 절반인 35명가량 참석해 김빠진 모습이 연출되기도 했다. 홍준표 최고위원은 "복잡한 당내 사정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개헌이 가능할지 의문스런 상황에서 일부 계파가 나선다고 되겠느냐"고 반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