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벤처기업의 경작/최동규 중소기업연구원 부원장(여의도칼럼)

벤처기업 육성이라는 정부 방침이후 우리사회는 마치 벤처기업만이 살길인 듯 벤처기업에 대한 관심이 전염병처럼 번지고 있다.분명히 벤처기업이 한국 산업구조의 변화나 구조고도화에 중요한 자리매김을 할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그렇지만 기존 중소기업과 새로 태어나는 중소기업간에 균형과 조화가 필요하고, 그것이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가져오는 길이라는 당연한 명제앞에서 최근의 벤처기업 육성 열풍에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자칫 벤처기업 육성에 대한 편향적인 지원이 기존 중소기업의 소외로 이어져 불균형적인 산업구조가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정부의 벤처기업 육성의지가 제대로 자리매김해 우리나라 경제위기의 돌파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몇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벤처기업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있어야 한다. 어떤 정책목적을 양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정의를 매우 넓게 혹은 애매하게 할 경우 그 정책의지는 초점이 흐려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벤처기업 육성도 한국의 여건을 감안한 현실적인 개념정립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벤처기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토양이 가꾸어져야 한다. 벤처기업 육성은 의지만큼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아무리 품종이 좋은 씨앗이라도 기후나 토양에 맞지 않는다면 싹도 틔우지 못하고 죽어버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잠재력을 발굴하고 우리 사회에 안전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져 나가야 한다. 벤처마인드를 가진 창업가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벤처기업에 필요한 투자자금의 조달, 벤처기업의 직접금융조달을 용이케 하는 자본시장 육성등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끝으로 미국의 벤처기업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면에는 자율과 경쟁의 원천으로서 작은 기업들에 대한 인식이 확고하기 때문에 자긍심을 가질 수 있었다는 점과 거대한 국내시장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잊어서는 안된다. 최근의 벤처기업 육성에 대한 열정이 전염병처럼 어느 순간 사라지지 않고 지속되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관련기사



최동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