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올해 일자리 33만~40만개 증가"

정부 목표치 35만~40만개와 비슷

삼성경제연구소는 올해 새로 창출되는 일자리수가 33만~40만개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소는 13일 '경기회복기 일자리 창출력 분석과 2006년 일자리 창출 전망' 보고서에서 "부문별 성장률 전망치와 취업유발계수를 토대로 계산한 올해 일자리 증가규모는 33만~40만개"라며 "이는 정부 목표치인 35만~40만개에 육박하는 수준"이라고밝혔다. 연구소는 소비와 투자, 수출 부문 성장률을 각각 4.9%, 3.9%, 8.3%로 예상하고,각 부문의 취업유발계수로 10억원당 각각 24(명), 16.1, 15.7을 적용했다. 손민중 연구원은 "올해 경제 성장률이 4.8%로 작년보다 0.8%포인트 높아지면서일자리 창출 폭도 지난해 29만9천개를 웃돌 것"이라며 "특히 취업유발 계수가 큰 소비와 투자 부문의 성장률 개선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연구소는 외환위기 이후 전반적으로 경기와 고용상황 사이의 상관관계가약해졌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72년 2월과 98년 8월 사이(1~6 순환기) 여섯 차례 확장기의 평균 일자리 창출 규모는 49만4천개인데 비해 수축기의 경우 26만9천개에 불과,큰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98년 8월 시작된 제7순환기부터 현재의 10순환기(확장기 진행 중)까지네차례 확장기의 일자리 창출 폭은 29만2천개, 세차례 수축기는 28만5천개로 거의차이가 없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고용창출력이 낮은 수출 위주 정보기술(IT) 산업이 경기 확장을 주도한 데다 고용창출력이 상대적으로 큰 서비스업 부문은 가계신용 버블(거품)후유증으로 계속 부진했기 때문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외환위기 전 경기 확장기에 평균 16만9천개의 일자리가 늘어났으나 외환위기 이후 확장기에는 오히려 평균 1만5천개가 감소했다. 손 연구원은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기업들의 투자 확대가 시급하다"며"특히 제조업 가운데 바이오산업을, 서비스업에서는 고부가 비즈니스 서비스, 문화와 관광 등 감성산업을 육성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섬유 등 전통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구조조정을 통해 영세소기업.농업.재래유통 등 취약부문에서 안정적 고용창출력을 확보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