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美한인과학자 NSF IT책임자 임명

김상태 퍼듀대 교수

미국 내 정보기술(IT) 연구 분야의 총괄책임자에 한국인 과학자가 임명돼 화제다. 화제의 주인공은 서울 COEX에서 열리는 ‘세계유변학총회(ICR 2004)’와 ‘그리드 포럼 코리아(Grid Forum Korea)’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김상태(46) 미국 퍼듀대 화학공학과 교수. 그는 지난 6월부터 2년 임기로 미국과학재단(NSF)에서 ‘사이버-인프라스트럭처(Cyber-infrastructure)’ 분야 총책임자를 맡고 있다. 사이버-인프라스트럭처는 IT를 기반으로 모든 관련 산업을 정보화하는 것으로 김 교수가 집행하는 연구비는 미국 슈퍼컴센터 운영과 국제 공동연구과제, IT와 응용이 가능한 물리ㆍ화학 분야 연구과제 등에 사용된다. 그동안 한국인 과학자가 미국 내 과학기관에서 특정 프로그램의 책임자로 일한 적은 있었지만 이번처럼 대형 국책 연구과제의 총책임을 맡은 것은 이례적이다. 김 교수가 총괄책임을 맡은 사이버-인프라스트럭처 분야는 앞으로 미국 내 연구팀을 대상으로 세부 과제 선정을 거쳐 모두 1억2,000만달러의 연구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김 교수는 만 7세 때 유학생 부모를 따라 캐나다로 건너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에서 화공학 학ㆍ석사,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수료했으며 위스콘신대 화공학과장, 워너램버트 파크데이비스 제약연구소 부사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2002년에는 세계적 제약회사인 일라이릴리의 신약 연구개발(R&D) 관련 IT 분야 총책임자로 영입돼 재미 한국인 과학자들 사이에서 ‘성공한 과학자’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김 교수는 “한국과학재단과의 협력을 통해 한미 연구진이 특정 과제에 대해 공동 연구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한국의 IT는 세계 최고 수준이기 때문에 양국에서 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