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옵션가 부풀리기' 도 넘었다

非상한제 단지엔 기준도 없이 '들쭉날쭉'<br>업체들 실질분양가 높이는 방법으로 악용<br>당국 제재 수단도 전무…"대책마련 필요"


'옵션가 부풀리기' 도 넘었다 非상한제 단지엔 기준도 없이 '들쭉날쭉'업체들 실질분양가 높이는 방법으로 악용당국 제재 수단도 전무…"대책마련 필요" 이유미 기자 yium@sed.co.kr 주택업체들의 옵션가 부풀리기가 도를 넘어섬에 따라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분양가상한제 비적용 아파트의 내외장 마감 및 빌트인 가전ㆍ가구, 발코니 확장 비용 등을 포함한 옵션가 책정은 철저히 업체 자율로 정한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보통 업체마다 옵션가에서 6~8%의 수익률을 남기며 분양시장이 좋지 않을 경우 수익률을 3%로 낮춰 옵션가를 책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옵션가, 얼마나 차이 나지(?)=지난 4월 용인 흥덕지구에서 정부의 옵션가 가이드라인에 따라 첫 마이너스옵션제를 적용했던 ‘흥덕 힐스테이트’ 105ㆍ114㎡형의 경우 가구, 바닥재, 벽ㆍ천정 마감, 주방가구ㆍ기구, 창호, 욕실 등 7개 품목에 대한 옵션 비용이 총 1,884만4,441원에 책정됐다. 같은 시기 공급됐던 분양가상한제 비적용 단지인 용인 신봉지구 동일하이빌 2블록 195㎡형의 경우 옵션비는 3,700만~5,185만원선, 발코니 확장 비용은 1,260만~2,000만원선이었다. 발코니 확장 비용을 제외하더라도 옵션가만 3.3㎡당 최고 32만원이 차이 난다. ◇분양 안 되면 눈치 보며 ‘옵션가 세일’=같은 지역 내에서도 분양시장 분위기에 따라 옵션가를 들쭉날쭉 책정하는 사례도 있다. 6월 초 용인 성복지구에서 공급한 현대건설과 GS건설의 경우 최근 용인 지역 분양시장 침체를 감안해 분양승인 신청 당시 3.3㎡당 150만원 선이었던 옵션 및 발코니 확장 비용을 옵션 품목을 줄여 3.3㎡당 85만~99만원선에 낮춰 책정했다. 한편 신봉지구 동일하이빌 역시 성복지구 업체들의 분양일정에 맞춰 당초 3.3㎡당 130만~150만원선에 책정됐던 풀옵션 및 발코니 확장 비용을 3.3㎡당 85만∼88만원으로 낮췄다. 하지만 옵션가 인하와 무관하게 이들 단지의 계약 성적은 저조한 편이다. 용인시청의 자체집계에 따르면 이들 업체의 현재까지 계약률은 외부에 알려졌던 60~70%에도 훨씬 못 미치는 30~40%선이다. ◇기준도 없어 수요자들만 피해=문제는 분양가상한제 비적용 단지의 경우 실질적으로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사실이다. 국토해양부의 한 관계자는 “인천 경제자유구역청을 제외하고는 분양가상한제 비적용 단지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에서 권고ㆍ제한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별다른 잣대 없이 업체들의 고무줄 옵션가를 승인해준 용인시 측은 “해당 사업장은 분양가상한제 아파트가 아니기 때문에 발코니 확장 및 옵션 비용 등을 정부의 권고안대로 따를 필요는 없다”며 “발코니 확장이나 옵션은 돈이 있는 소비자들만 선택하면 그만인 것을 지자체가 개입해서 제재를 가한다는 것은 시장논리에 어긋난다”는 반응이다. 고무줄 옵션가에 대한 수요자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성복동 A공인중개사의 한 관계자는 “신봉ㆍ성복지구 업체들이 용인시의 압력에 못 이겨 분양가를 3.3㎡당 200만~300만원씩 인하하면서 당초 분양가에 포함됐던 옵션 및 발코니 확장 비용을 별도 비용으로 책정한 것이 아니냐”며 “실질분양가를 높이기 위해 책정한 옵션 비용으로 그 피해가 고스란히 수요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용인 지역 A시행업체의 한 관계자는 “용인시의 경우 분양가상한제 비적용 단지에 대해 분양가 인하를 강력하게 권고하는 편이지만 분양가 인하에 대한 업체 손실분을 옵션가 부문에서 만회할 수 있도록 암암리에 허용해주고 있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