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경쟁적 자금회수 자제가 우선과제

건설업계에 대한 자금수혈 방안이 강구됨에 따라 건설사의 심각한 자금난에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18일 김석동 금융위원장과 5대 금융지주 회장 간에 이뤄진 간담회에서 민간 배드뱅크 설립방안을 비롯해 정상화가 가능한 건설사들에 대한 대출 만기연장 등 건설업계의 자금난을 덜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됐다. 잘 알려진 대로 현재 건설업계가 겪고 있는 자금난은 건설경기가 좋을 때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을 통해 무리하게 사업을 벌인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건설경기가 침체에 빠지면서 건설업계는 심각한 자금난에 몰리게 됐다. 더구나 최근 중견 건설업체들의 부도가 잇따르면서 저축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이 무차별적으로 대출회수에 나섬에 따라 연쇄부도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저축은행의 경우 고강도 구조조정이 추진되면서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부동산 PF대출 회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은행권도 예외는 아니다. 건설업체의 부도 가능성이 높아지자 상환독촉, 신용등급 하향조정 등 대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결국 궁지에 몰린 건설사들은 비상수단으로 법정관리나 워크아웃을 선택함으로써 연쇄부도 위기를 증폭시키고 있다. 흑자기업인 삼부토건이나 동양건설산업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문제는 이 같은 맞대응이 계속될 경우 금융기관과 건설업체 모두 피해를 입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는 점이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PF대출은 25조원에 이르고 이중 14조원이 2ㆍ4분기에 몰려 있다. 이처럼 막대한 대출자금에 대한 회수경쟁이 벌어질 경우 건설사들의 줄도산은 불가피하다. 금융부실은 물론 경제 전반에 큰 타격을 줄 우려가 크다. 이런 면에서 5대 시중은행 등이 자금회수를 자제하고 필요할 경우 자금지원에 나서기로 한 것은 연쇄부도 위기를 막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이 같은 노력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저축은행들도 동참하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 그리고 건설업계의 구조조정을 위한 근본대책도 병행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부실PF 채권 처리를 위한 민간 배드뱅크 설립 및 기업구조조정촉진법 부활 등 제도적 뒷받침을 서둘러야 한다. 주택을 비롯한 건설경기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강구돼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