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회장님 이미지 새롭게 가꿔라"

대기업들 PI 전담조직 신설·보강 대대적 작업…이건희·정몽구 회장 글로벌 경영등에 초점<br>구본무 회장 노타이 활동등 고객친화 중점…최태원회장 '젊음' 김승연회장은 '가족' 강조


"회장님 이미지 새롭게 가꿔라" 대기업들 PI 전담조직 신설·보강등 대대적 작업 잇따라이건희·정몽구 회장 글로벌 경영등에 초점구본무 회장 '고객가치창출' 선두주자 부각최태원회장 '젊음' 김승연회장은 '가족' 강조 김현수 기자 hskim@sed.co.kr '이건희 회장은 엽기토끼.' 지난달 중순 사이버 공간에서는 이건희 삼성 회장이 누리꾼들의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평창동계올림픽 실사단을 찾았을 때 머리에 쓴 귀마개 때문이었다. 명품 귀마개도 화제였지만 정작 누리꾼들의 반응은 의외였다. "귀엽다""엽기토끼 같아여" 등의 반응에 이 회장의 PI(President Identityㆍ이미지 홍보) 담당자들은 깜짝 놀랐다. '노블레스 오블리주(사회 고위층 인사의 도덕적 의무)'를 거론하며 따가운 시선이 쏟아질 것을 우려했지만 오히려 명품 귀마개가 이 회장의 이미지를 일반인들에게도 친근하게 만들었다는 뜻밖의 평가가 나왔기 때문이다. 요즘 대기업 비서실에는 "회장님의 이미지를 새롭게 가꾸라"는 특명이 떨어졌다. 이를 위해 PI 전담조직을 새로 만들거나 보강하는가 하면 기존의 사회공헌 등 경영 외적인 면에 집중했던 것을 현장경영 등 직접적인 경영능력과 국가 이미지 제고 등 글로벌 경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삼성의 경우 이 회장의 PI를 비서팀과 전략기획실 홍보팀에서 공동으로 맡고 있다. 과거 이 회장의 이미지가 미래예측경영자ㆍ창조경영 등 경영화두 제시와 같이 정형화됐다면 올 들어서는 국가 이미지 제고와 글로벌 경영 등에 무게를 싣고 있다. 최근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활동의 경우 이 회장이 삼성 회장뿐만 아니라 IOC 위원으로 국가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는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다. 정몽구 현대ㆍ기아차그룹 회장의 이미지는 '현장경영'. 지난해 파업 등 어려움을 겪었지만 올 들어 해외 현장경영에 많은 시간을 보내며 글로벌 현장경영을 진두지휘한다는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다. 언론에 비치는 정 회장의 사진이 대부분 작업복에 작업모 차림인 것도 현장경영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다. 새롭게 구성된 홍보조직은 정 회장의 PI 개편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구본무 LG 회장은 '1등 LG'에서 '고객가치창출'의 선두주자로 이미지를 굳혀가고 있다. 구 회장은 매년 8월 열리는 글로벌CEO전략회의를 연초로 앞당겨 고객가치경영 성과를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독려하며 공식ㆍ비공식 행사에서는 항상 고객을 '화두'로 삼고 있다. 또 계열사 CEO들이 모이는 전략회의나 임직원들과의 만남시 넥타이 차림보다는 노타이로 활동적인 이미지를 만들고 있다. SK그룹은 최태원 회장의 PI 전담조직 구성을 준비 중이다. 지난달 SK㈜ 홍보팀 소속 부장을 비서팀으로 합류시키며 최 회장의 PI에 변화를 주고 있다. 지난해 최 회장의 PI는 상대적으로 젊은 회장이라는 장점을 내세우며 '젊음과 패기'나 사회공헌에 초점을 맞췄다. 최 회장은 지난해 앞치마를 두르고 쿠키를 굽는 모습부터 집짓기 봉사 등으로 언론에 모습을 비췄다. 하지만 올해는 사회공헌보다 글로벌 경영을 위해 뛰고 있는 모습을 집중 부각하고 있다. 지난달 말 뉴욕 맨해튼에서 열린 코리아소사이어티 초청 강연에서 'SK의 위기와 도전'이라는 주제로 대기업 총수로는 드물게 기업 알리기에 직접 나서며 글로벌 CEO로서의 이미지를 내세운 게 단적인 사례다. 한화그룹도 PI의 전문성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그룹 홍보실 내에 김승연 회장의 PI 전담인력을 배치하고 언론에 비치는 김 회장의 모습을 꼼꼼히 체크한다. 최근에는 김 회장이 전경련 회장 후보에 거론되는 만큼 대외적인 이미지 관리에 부쩍 신경을 쓰고 있다. 지난 카타르 도하 아시안게임에서 김 회장의 3남인 김동선씨가 승마 마장마술에서 금메달을 땄을 때 김 회장의 부정(父精)에 대한 자료나 최근 '기러기 아빠'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은 젊은 나이에 그룹 총수에 올라 다소 왜곡됐던 김 회장의 이미지를 바꾸고 있다는 평가다. 대기업의 한 관계자는 "PI는 회장 개인의 홍보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며 "기업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신뢰할 만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PI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7/03/05 17:1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