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 설립 백지화] 유암코 인수 헛물 켠 투자회사들

전직 관료 앞세워 인수 의지

정책 급선회에 "할 말 없다"

희소식 접한 유암코 표정관리

권오규 전 부총리/=연합뉴스

변양호 전 국장




매각이 진행되던 국내 최대 부실채권(NPL) 투자회사인 유암코(연합자산관리)가 기업 구조조정도 맡기로 당국의 정책방향이 바뀌면서 유암코 인수에 관심을 쏟아온 투자회사들이 아쉬워하고 있다. 이들 투자회사는 거물급 전직 경제관료들을 앞세워 유암코 인수에 강한 의지를 나타내왔다.

관련기사



17일 은행권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다음달 초 본입찰을 앞뒀던 유암코 인수 적격후보로 글로벌 NPL 투자회사인 발벡과 보고펀드-올림푸스캐피탈, 하나금융투자-디스커버리인베스트먼트, 아폴로매니지먼트-파인스트리트, BNK금융지주 등이 선정돼 한판 승부를 준비해왔다.

특히 발벡은 권오규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대표로 내세워 유암코 인수에 나섰으며 한동안 투자확대에 신중하던 보고펀드도 공동대표를 지낸 변양호 전 재경부 금융정책국장이 애초부터 관심이 커 역량을 쏟은 것으로 전해졌다. 권 대표와 변 대표 모두 발벡과 올림푸스 등 글로벌 투자회사의 전폭적 지원도 받고 있었다. 여기에 리먼브러더스 아시아 회장을 지낸 조건호 파인스트리트 회장 역시 NPL 자산이 5조원을 넘는 아폴로와 연합해 인수전에 가세, 유암코의 새 주인이 누가 될지에 금융투자 업계는 물론 관가도 예의 주시해왔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유암코 대주주인 시중은행들과 협의해 부실기업 구조조정을 유암코에 맡기고 매각작업은 중단하기로 하자 인수에 공을 들여온 투자회사들은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는 격이다. 매각주관사인 JP모간코리아는 "할 말이 없다"며 허탈한 분위기를 전했다. 이에 반해 매각에서 기능 확대로 예상치 않은 희소식을 접한 유암코 내부는 표정관리에 애쓰는 모습이다.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