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독감백신 원료 국내생산

녹십자 전남 화순에 2,000억 투입 공장 설립

세계보건기구(WHO)가 유행성독감(인플루엔자)의 전세계 창궐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경고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인플루엔자 백신원료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주)녹십자는 “전라남도가 독감백신원료 생산기반 구축사업에 녹십자를 최종 사업자로 선정함에 따라 전남 화순에 기술개발 투자액 900억원을 포함 총2,000억원(정부 지원금 160억원 포함)을 투입, 연간 5,000만 도즈의 인플루엔자 백신원료 생산공장을 설립키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녹십자는 2007년까지 생산설비 구축을 완료한 후 시제품 생산을 거쳐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인플루엔자 백신원료를 생산, 해외에도 수출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인플루엔자 백신 전량을 원료수입(89.1%)이나 완제품 수입(10.9%) 형태로 들여오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1,709만명 분(도즈), 금액으로 환산하면 400억원 어치의 백신을 수입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사스나 조류독감이 빈발하는 지역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앞으로 10년 내 국내에서 필요한 인플루엔자 백신이 3,000만 도즈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녹십자는 전남 화순에 세워질 백신 공장에서 완제품이 아닌 인플루엔자 백신의 최종 원액만 생산, 국내 백신 제조회사에 공급함으로써 기존 설비에 대한 중복 투자를 피해 원가절감이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녹십자 관계자는 “지난 1995년부터 3년 동안 이미 인플루엔자 백신을 자체 기술로 개발, 공급한 경험이 있어 이번에도 독자적으로 생산이 가능하다”면서 “하지만 국제 경쟁력 제고차원에서 선진기술과 글로벌 마케팅 능력을 보유한 다국적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모색 중”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인플루엔자 백신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위스 캐나다 호주 일본 등 10개 국가이 원료를 생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인플루엔자가 유행할 경우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국가의 경우 백신확보를 보장 받을 수 없는 상황이다. 다른 의약품과는 달리 인플루엔자 백신은 부화중인 유정란(달걀)에 바이러스를 일일이 접종, 배양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해서 단기간에 생산량을 늘릴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