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부터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9월말까지 예정돼 있는 국채매입을 더 이상 연장하지 않음으로써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정책을 사실상 종료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금융시장에 남아 있는 마지막 시한 폭탄인 상업용 모기지의 부실 확대를 차단하기 위해 소비자 대출창구인 TALF(기간물 자산유동화대출창구) 시행은 내년초까지 연장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각국의 출구전략 전환과 더불어 초미의 관심사가 된 기준금리 조정은 고려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조기 금리인상 기대 말라= FRB는 8월 정례회의에서 지난해 12월 이후 지속해온 제로금리를 유지하면서 시장 일각에서 제기되는 조기 금리인상 계획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할 것으로 보인다. 페드워처(FRB분석가)들은 경기 회복에 대한 신호가 부쩍 잦아지고 있지만 FRB가 제로수준의 기준 금리를 조기에 인상할 수 있을 것이라는 어떤 암시도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통화정책에 대한 FRB의 입장은 확고하다. 금리 인상은 경기침체에서 벗어나면 단행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한 회복기에 도달했을 때 실행하는 것이란 게 FRB의 기본 인식이다. 벤 버냉키 FRB 의장은 지난달 21일 하원 금융위원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상당기간' 제로 금리수준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출구전략은 시기상조라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선물시장에서 내년 5월까지 기준금리가 1%, 내년 8월까지 1.5%까지 인상할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으나 이는 잘못된 신호"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유동성 펌프의 꼭지는 서서히 잠근다= FRB는 금리 정책에 변화를 주지 않지만 시중 유동성 공급 장치는 크게 줄여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단 양적완화정책의 핵심 수단인 미 재무부 채권(TB) 매입은 9월말 예정대로 종료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FRB는 지난 3월부터 3,000억 달러 규모의 국채 매입에 착수, 현재까지 2,500억 달러 어치를 매입했다. 이 제도는 9월말이 시한인데, 현금 등가물인 국채를 사들여야 할 정도로 신용시장이 빠듯하지 않는데다 FRB의 대차대조표 부실에 대한 정치적 압력이 고조되고 있어 이를 연장할 가능성이 낮다는 게 월가의 시각이다. 로이터가 16명의 프라이머리딜러(국채 입찰참여 금융기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대다수인 14명이 국채 매입 프로그램 종료를 예상했다. 또 최고신용등급의 회사채를 국채와 교환해주는 TSLF(기간물 국채임대 대출창구) 프로그램도 더 이상 연장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연말까지 시행할 예정인 1조2,500억 달러 규모의 소비자 관련 대출창구(TALF)는 상업용 모기지 부실의 골이 워낙 깊어 내년초까지 연장할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기하고 있다. 바니 프랭크 하원 금융위원장 등 41명의 하원의원도 지난달 31일 상업 부동산 시장의 급랭을 막기 위해 FRB에 TALF 프로그램 시행을 1년 더 연장할 것을 요청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