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하철도 복지부동인가(사설)

 지하철사고가 너무 잦다. 요즘들어서는 거의 하루에 한번꼴이다. 지하철을 비롯, 수도권전철 모두가 안전불감증에 걸린 듯한 느낌이다. 실로 문제가 심각하다. 대중교통수단인 지하철은 사고가 날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특히 그렇다. 지난 12일 일어난 지하철 2호선 탈선사고는 어처구니 없는 배짱운행이 빚어낸 결과다. 문제의 전동차는 탈선사고 3시간전인 상오 7시11분께 삼성역구내 3번칸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등 이상현상이 발견됐다. 그런데도 무리하게 차량기지로 옮기려다 탈선한 것이다. 이 사고로 2호선이 5시간 동안이나 불통, 서울시내 교통이 큰 혼잡을 빚었다. 또 13일 상오 6시께는 역시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구내에서 동력이 떨어지는 사고로 30여분간 운행이 중단됐다.  올들어 일어난 지하철 사고는 총 32건에 이른다. 원인은 지하철 종사자들의 안전의식 부재가 으뜸이다. 이러니 마음놓고 지하철을 탈 수도 없게 됐다. 지하철의 캐치프레이즈인 「신속·안전·정확」은 서울 지하철에 관한한 정반대다.  서울의 하루 교통인구는 지난해 연말 현재 2천8백만명에 달한다. 수송분담률은 버스 34.9%, 지하철 34.1%, 자가용 13.4%, 택시 8.8%다. 금년말에는 지하철이 버스를 앞지를 전망이며 내년 중엔 37%, 2001년에는 41.4%까지 올라간다. 하루 평균 1천만명이 이용하는 지하철이 위험을 안고 땅속을 달린다고 상상만해도 실로 끔찍하기 짝이 없다.  지하철 종사자들의 안전의식 부재가 행여 정권의 임기말 현상과 맞물린 것이 아닌지 걱정스럽다. 그렇지 않아도 지금 정부부처는 물론 공공기관의 복지불동자세가 국민들의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정치권의 눈치만 보면서 움직이질 않기 때문이다.  지하철은 「시민의 발」이다. 그러면서 생명을 담보하고 있다. 지하철 당국은 지하철 노선의 신규건설도 중요하지만 기존노선의 안전점검에도 힘을 쏟아야 한다. 최근들어 일어난 각종 사고의 원인을 철저하게 분석, 재발방지와 함께 책임도 물어야 한다. 사고가 있는 곳에 책임이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더 큰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