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공기업 비정규직 7000명 무기계약직으로

기획재정부 연내 전환 추진

정부가 7,000여명의 공공기관 비정규직 근로자를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대상 공공기관은 정부 예산지원 없이 운영되는 한국전력공사ㆍ한국가스공사 등 30개 공기업과 국민연금공단 등 일부 준정부기관이다.

2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대형 공공기관에서 근무 중인 비정규직 약 7,000명을 연내 무기계약직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앞당기고자 정부 예산을 투입하지 않고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할 수 있는 비정규직을 추려내고 있다"며 "대략 계산해본 바로는 7,000여명 수준"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기재부와 고용노동부가 함께 가동하는 태스크포스(TF)는 무기계약직 전환 세부 기준을 만들어 이르면 상반기 중 전환대상 비정규직 규모를 정밀하게 산출할 계획이다.

우선 추진 대상은 정부 지원 없이 자체 예산으로 운영하는 공공기관에서 상시·지속적 업무에 종사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다. 지난해 말 기준 288개 공공기관의 비정규직 근로자는 4만3,000여명이다.

출연연구기관 종사자 9,000여명을 제외한 공공기관 종사자 3만4,000여명 가운데 상시·지속적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는 1만4,000여명선이다. 정부는 출연연구기관의 비정규직 연구원 9,000여명은 아예 정규직화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무기계약직보다 좀 더 좋은 조건으로 정원에 포함시키겠다는 의미다.

기재부 관계자는 "2015년까지 조건을 충족하는 공공기관의 모든 비정규직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기로 했지만 이를 최대한 앞당겨 가능하면 2014년까지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