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국, 애플 핵심부품 생산기지로 진화

배터리 등 공급업체 올 2배로 급증<br>첨단 기술 앞세워 한·일·대만 위협

글로벌 '제조업 공장' 역할을 해온 중국이 단순한 부품조립 기지에서 핵심부품을 자체 생산하는 고부가가치 기술집약 단지로 거듭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30일 보도했다.

FT는 애플의 공급망 자료와 CLSA증권의 분석자료 등을 인용해 "중국 정보기술(IT) 업계가 애플 아이폰 및 아이패드의 핵심부품 생산기지로 새롭게 부상하며 위상을 달리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애플에 배터리 등 주요 부품을 공급하는 중국 업체들의 숫자는 지난 2011년 8개에서 올 들어 16개로 배증했다. 중국 산둥성의 음향전문 업체 고어텍, 선전의 배터리 생산 업체인 더사이ㆍ신왕다 등이 올 들어 새롭게 애플 공급업체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값싼 노동력에 근거한 조립업체가 아니라 기술력을 갖춘 현지기업들로 중국 IT산업의 달라진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홍콩 소재 CLSA증권의 니컬러스 배럿 아시아 IT 담당 수석은 "중국이 수년간 연구개발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 부은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며 "(경쟁우위에 서는) 핵심 기술 기업들이 중국에서 점점 더 많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FT는 이 같은 중국 기업들의 변화가 한국과 일본ㆍ대만 등 동아시아의 주요 부품 업체들에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업체들의 기술력이 진일보하면서 최첨단기술시장을 주도해 온 이들 국가의 위상에 변화가 올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FT는 애플이 중국 기업과 손을 잡게 된 이유 가운데 하나로 기존 업체들이 주도해온 '가격결정' 구도를 흔들어 비용절감을 유도하려는 전략을 꼽았다. 노트북에서 스마트폰으로 산업의 핵심이 이동하며 비교적 단순한 부품공급이 늘어나는 점도 중국 기업들에 기회를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