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시, 노숙인에 일자리 제공키로

1단계 4월까지 600개 일자리

서울시가 노숙인의 일자리 마련에 나섰다. 시는 17일 "시내 건설 현장에 노숙인의 일자리를 창출, 근로의욕을 높여 자립의계기를 마련해주기로 했다"며 "노숙인이 뉴타운 공사 현장 등에서 일하면 시가 인건비의 절반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명박 서울시장이 9일 노숙인을 뉴타운 등 공사 현장에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한 데 대한 후속조치다. 우선 1단계로 다음달부터 4월까지 하루 600개의 일자리를 마련했다. 뉴타운 사업 현장 120명, 시 건설안전본부 공사 현장 200명, 지하철 건설공사현장 200명, 상수도사업본부 공사 현장 80명 등이다. 이어 2단계로 연말까지는 1단계 성과를 봐가며 하수도 준설사업 등 소규모 시사업장, 자치구 사업장 등으로 대상을 확대해 하루 1천200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임금은 보통 공사장 일용인부 임금의 최저액인 5만원을 기준으로 해 시가 2만5천원을, 민간 건설회사가 나머지를 대기로 했다. 한달에 20일 일하면 100만원을 손에 쥘 수 있는 수준이다. 쉼터, 상담보호센터 등 시설에 입소하거나 주거를 확보한다는 조건으로 우선 거리 노숙인을 주 대상으로 하되 시설 노숙인으로도 확대할 방침이다. 시는 이 사업에 연말까지 57억원을 투입한다. 건설사 부담분을 합치면 모두 114억원이 소요된다. 시는 다음달 1일 용산구민회관에서 이 사업에 참여할 노숙인과 공사 관계자 등을 상대로 사업 설명회를 연다. 1월 현재 시가 파악하고 있는 시내 노숙인은 64개 쉼터에 2천230명, 4개 상담보호센터에 423명, 서울역.영등포역 등의 거리 노숙인 475명 등 모두 3천128명이다. 김상국 시 복지건강국장은 "시설 입소 노숙인 2천600여명을 상대로 수요 조사를한 결과 참여 희망자가 736명에 달했다"며 "그동안 노숙인 대책은 `보호' 위주였으나 앞으로는 `홀로서기'를 돕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조치가 일반 일용직 구직자들의 일자리를 빼앗는 결과를 낳고 일할의욕을 상실한 노숙인에게는 실효성이 없지 않겠느냐는 지적도 일고 있다. 한편 시는 지난해 9∼12월 넉달간 실시한 `서민 긴급지원 특별대책' 결과 긴급구호비, 영세 소상공인 특별자금 지원, 임대주택 제공 등으로 1천219억원을 지원,당초 목표의 91.7%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시는 실직이나 질병, 화재, 파산 등 으로 일시적 생계 위기에 처한 시민에게 지급하는 긴급구호비 지원은 올 3월까지 연장하고 노숙인 1대1 상담도 계속 벌여나간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