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하수서 방사능물질 다량 검출

폐암유발 라돈 美규제치의 최고 8.4배나마실 물로 사용하는 전국의 지하수에서 폐암이나 신장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라돈과 우라늄 등 방사능물질이 다량 함유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연구원이 3일 발표한 '2000년 지하수중 방사성물질 함유실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국의 심성암(화강암의 일종)대에 위치한 145개 지하수중 2곳에서 암을 유발하고 신장을 손상시키는 우라늄이 캐나다 기준치인 100ppb(1ppb는 10억분의 1)를 초과했다. 캐나다 기준치를 초과한 곳은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 도평리와 여주군 강천면 강천2리의 지하수로 330ppb, 268ppb의 우라늄이 각각 검출됐다. 이 두 지역의 지하수를 매일 2ℓ씩 마실 경우 우라늄 인체 노출수준은 세계보건기구 권고치(1만분의 1 씨버트/연간, 씨버트는 방사성물질이 생체에 미치는 최종 양)보다 2배 정도 높게 된다. 우랴늄에 대해서는 캐나다만 기준치를 정해 놓고 있다. 특히 우라늄이 붕괴할때 발생하는 가스형태의 방사성원소로 폐암을 유발하는 라돈은 조사대상 지하수의 31%인 45개 지하수에서 미국의 잠정규제치인 3천pCi/ℓ(피코큐리/리터, 1pCi는 1초당 100분의 3.7개의 원자가 붕괴하는 방사성물질의 양)보다 높게 측정됐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반곡리 황정산쉼터 지하수의 라돈 농도는 2만5,092pCi/ℓ로, 미국의 잠정 규제치에 비해 8.4배 높았다. 포천군 이동면 도평리와 충남 서천군 서천읍 사곡리 레포츠공원 지점의 지하수에서도 1만1,405pCi/ℓ, 1만142pCi/ℓ의 라돈이 각각 검출됐다. 방사성물질이 내뿜는 방사선의 하나인 전알파(gross-α)는 0.02∼11.43pCi/ℓ로 미국 기준치(15pCi/ℓ)보다 낮게 나타났다. 문제가 된 이들 지하수는 그 동안 음용수와 생활용수로 사용돼 왔다. 이덕길 환경연구원 수질연구부장은 "방사성물질은 암석과 토양에서 자연적으로 배출이 돼 규제가 매우 어렵고 라돈의 경우 환기를 통해 공기를 넣어주면 쉽게 제거할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오염된 물을 장기간 마실 경우 암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우라늄이 높게 검출된 지하수의 경우 식수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라돈이 초과 검출된 지하수에 대해서는 라돈의 반감기가 3.8일인 점을 감안해 정수처리후 음용토록 조치했다. 오철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