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안철수硏 "스마트폰에 사이버공격 일어날수도"

"SNS 계정 해킹시도도 빈발" 경고

국내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늘면서 이를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기승을 부릴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안철수연구소는 11일 '2010년 주요 보안이슈 예측'보고서를 통해 국내서도 스마트폰 보급이 확산되면서 기존 PC에서 발생했던 보안문제가 스마트폰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통화기록이나 전화번호, 사진 등 개인정보 탈취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에 악성코드를 심어 '좀비 단말기'로 만든 후 디도스(DDoSㆍ분산서비스거부) 공격에 악용하는 사례도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트위터와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지난해에는 트위터를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하거나, 유명인의 SNS 계정을 해킹하는 하례도 발생한 바 있다. 인터넷전화의 경우에는 통화내용을 유출하는 악성코드가 이미 발견되는 등 도ㆍ감청의 위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안철수연구소는 이외에도 ▦클라우드컴퓨팅을 악용한 사이버공격 ▦디도스 공격용 좀비PC 확보기법 지능화 ▦메신저 피싱 급증 ▦윈도7 취약점 공격 증가 ▦가짜 백신 확산 ▦온라인 게임 해킹 증가 등도 중요한 보안 위협으로 꼽았다. 조시행 안철수연구소 시큐리티대응센터 상무는 "스마트폰, 클라우드 등 새로운 IT환경의 등장이 해커에게 손쉬운 방법으로 악성코드를 유포, 해킹할 수 있는 토대로 작용할 수 있다"며 "사용편의성과 함께 보안에도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