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동영 "2011년 대입 폐지"

"수능, 고교졸업 자격시험화…대학별 입시도 금지"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대선후보가 5일 ‘2011년 대학입시 전면 폐지’와‘내신 중심의 대학 신입생 선발’을 공약했다. 정 후보는 이날 경기도 시흥시의 한국산업기술대학교를 방문해 기자간담회를 열고 “대학입시를 폐지하고 수능시험을 고교졸업 자격시험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자격시험으로 전환된) 수능을 통과한 학생들은 연 2회 이상, 한번에 3개 이상의 대학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정 후보는 대학 신입생 선발기준에 대해서 “본고사ㆍ논술 등 대학별 입시는 글로벌 스탠더드(global standardㆍ국제기준)를 고려해 금지시키겠다”는 방침도 내놓았다. 그는 대신 “대학은 학교생활부(내신)에 기록된 학업성적과 봉사활동, 리더십 등 다양한 요소를 판단해 신입생을 선발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정 후보의 이번 공약이 실현되면 현재 중학교 2학년 재학생부터 적용된다. 또 수능시험이 자격시험으로 전환될 경우 난이도가 현재보다 낮아지게 될 전망이다. 정 후보 측의 한 관계자는 “자격시험으로 개편되는 수능시험은 재학생이 정규 공교육 과정을 충실히 공부했는지를 묻는 수준의 난이도로 출제될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입시 부담이 없어져 사교육 과열현상도 해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후보는 “이번 공약의 전제조건인 학교생활부 내실화를 위해 투명하고 객관적인 내신평가제도를 도입하고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해 자율적 견제장치를 마련해 내신평가에 대한 불신을 해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대학이 학생의 성적뿐 아니라 창의력ㆍ적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도록 입학관리의 역량강화를 위해 전문성을 갖춘 입학처를 만들 수 있도록 경비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본고사를 치르는 나라는 일본과 멕시코 정도로 내신 위주 선발이 글로벌 스탠더드”라며 “미국 명문대학들도 SAT(미국 대학수능시험) 반영비율을 대입 전형 요소에서 낮추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 후보는 이날 교육 7대 혁신과제로 ▲2년제ㆍ4년제 학위구분 폐지 ▲산업적합도 높은 100개 직업교육 중심 대학에 국공립대학 수준의 지원 실시 ▲노동부 소관의 폴리텍 전문대와 교육부 관할의 산업대 통합 ▲대기업 참여 연구중심 대학에 대해 매칭펀드 개설 ▲전국민의 평생학습계좌제 실시 ▲부실대학 퇴출 시스템 마련 등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