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현대차 사내하청 다시 안갯속

'6000명 정규직 전환' 합의안 부결

5년을 끌어 온 현대자동차 사내하청 문제가 최근 잠정합의안을 통해 마무리되는 듯 했으나 노조가 이를 최종 거부하면서 다시 안갯속에 놓이게 됐다.


현대차 비정규직지회는 지난 14일 마련한 잠정합의안을 두고 21일 전체 조합원(재적 717명) 찬반투표를 벌인 결과 찬성 244명(38.2%), 반대 384명(60.1%)로 부결됐다고 밝혔다. 잠정합의안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채용 인원을 기존 4,000명(2015년까지)에서 6,000명(2017년 말까지)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18년부터는 정규직 인원 소요 발생시 하도급 인원을 일정 비율로 고용해 사실상 문제가 된 모든 사내하도급 근로자들을 정규직으로 고용하기로 했다. 근속기간도 일부 인정했으며 민·형사상 소송 취하 등도 담고 있다. 또 합의안대로라면 6,800명가량의 현대차 사내협력업체 근로자가 사실상 대부분 정규직으로 바뀌기 때문에 '전원 정규직화'라는 노조의 요구도 어느 정도 실현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었다. 잠정합의는 현대차 노사와 사내하청 노조, 사내하청 업체 대표, 금속노조 등 관련된 5곳 모두 참여해 마련한 것으로 가결 쪽으로 무게가 기울었다. 가결되면 2003년 노조 설립 12년 만이며, 2010년 7월 대법원 판결로 촉발된 각종 충돌 이후 5년 만의 완전한 해결이었다.

관련기사



하지만 잠정합의 후 일부 조합원을 중심으로 "합의안 찬성은 사측에 불법파견 면죄부를 주는 것이다"는 목소리와 함께 "투쟁에 적극 나선 조합원을 우선 채용한다는 문구가 들어가지 않았다"며 부결 운동이 일었다. 특히 합의 보다는 법원 판결로 가는 게 더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조합원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대법원에서 ‘정규직 판결’을 받을 가능성이 커 합의안을 부결시켰다는 분석이다. 지난 2010년 사내하청에서 근무하던 최병승씨의 대법원 승소 판결 이후 집단 소송을 시작한 사내하청 근로자의 승소가 잇따른 것이 그 이유다.

 이번 부결로 현대차 비정규직 문제를 두고 노사 마찰이 다시 격화하거나 ‘정규직 인정’과 관련해 법원이 최종 판결을 내릴 때까지 장기화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