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간 우리 국민이 실제로 쓸 수 있는 소득인 가처분소득에서 빚이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바짝 다가서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계의 빚 갚을 능력이 악화일로는 걷는 가운데 경기 둔화에 따른 소득 감소와 금융권의 빚 독촉이 심화할 경우 취약 계층의 파산 행렬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을 포함하는 가계대출 잔액은 826조원으로 해당 분기를 포함하는 직전 1년간 국민총처분가능소득 1,204조6,000억원의 68.6%를 차지했다. 이는 매년 상반기 말 기준으로 따졌을 때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7년 이후 최대다. 나라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가계 대출이 늘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나 그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된다는 것은 그만큼 가계의 빚 갚을 능력이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란 국민총소득(GNI)에서 해외로 무상 송금한 금액을 제외하고 무상으로 받은 금액을 더해 실제로 국민이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매년 6월 말 가계대출 잔액이 전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52.0%로 처음 절반을 넘어선 후 2003년 54.4%, 2004년 54.5%, 2005년 55.7%, 2006년 58.5%, 2007년 60.4%, 2008년 63.8%, 2010년 67.6%로 꾸준히 늘었다.
11일 한은과 통계청ㆍ금융감독원이 공동 발표한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총부채 비중은 지난해 151.6%에서 올해 158.5%로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