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정부, 씨티그룹 보유 지분 곧 매각할듯

처분땐 82억弗 순이익

미국 정부가 금융위기 와중에서 사들인 씨티그룹의 정부보유 주식을 곧 매각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미국 정부는 32%에 이르는 엄청난 투자 수익을 거두게 된다. 27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미국 정부 및 금융기관 관계자를 인용, 현재 시가로 계산할 때 정부가 보유 중인 씨티그룹 지분 34%를 매각하면 미국 정부는 약 80억 달러(약 9조1,100억원)의 순이익을 얻게 된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 정부가 구제 대상 금융사들로부터 되돌려 받은 금액 중에서 최대 규모다. WP에 따르면 씨티그룹의 지난 26일 종가는 주당 4.31 달러로, 정부가 지원자금을 보통주로 전환했을 당시 가격인 주당 3.25 달러보다 크게 상승한 상태다. 따라서 정부 보유지분 전체 평가액은 약 331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이번 매각이 예상대로 성사될 경우 그 동안 제기됐던 정부의 부실금융사 지원 관련 논란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고 WP는 전했다. 미국민들은 서민들의 세금으로 정부가 특정 금융회사를 구제하면서 '대마불사론(too big to fail)'을 키웠다고 반발해 왔다. 씨티그룹은 2008년 10월 월가발 금융위기의 소용돌이 속에 미 정부의 구제금융을 처음 지원받은 금융사 중 하나로,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 등을 통해 지금까지 총 450억 달러를 지원받았다. 미 정부는 이 중 200억달러는 대출로 전환했고, 나머지 250억달러는 씨티그룹의 보통주로 전환해 약 34%의 지분을 보유해 왔다. 씨티그룹은 지난해 경영이 호전되면서 최근 대출금으로 전환된 200억달러를 곧 상환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편 미 재무부의 고위 관리에 따르면 TARP 시행으로 인한 정부의 최종적인 손실은 1,000억달러 이내일 것으로 관측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