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화물연대 파업 다소 진정 조짐

운송료협상 입장차는 여전…장기화 우려도

18일 오전 서울 방배동 화물회관에서 화물연대(왼쪽)와 컨테이너운송사업자협회 관계자들이 협상을 벌이고 있다. 비공개로 진행된 이날 협상에서는 핵심 쟁점인 운송료 인상과 관련해 팽팽한 줄다리기를 지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영호기자

화물연대 파업 다소 진정 조짐 운송료협상 입장차는 여전…장기화 우려도 오현환 기자 hhoh@sed.co.kr 성행경기자 saint@sed.co.kr 18일 오전 서울 방배동 화물회관에서 화물연대(왼쪽)와 컨테이너운송사업자협회 관계자들이 협상을 벌이고 있다. 비공개로 진행된 이날 협상에서는 핵심 쟁점인 운송료 인상과 관련해 팽팽한 줄다리기를 지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영호기자 화물연대 파업 엿새째를 맞아 일부 사업장에서 운송료 협상이 타결되고 운송 복귀 차량도 늘어나는 등 파업사태가 다소 진정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화물연대와 운송업자 간 협상은 여전히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장기화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18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이날 운송거부 차량은 1만2,807대로 전날보다 576대 줄었다. 한때 평상시의 10%대로 떨어졌던 전체 컨테이너 반출입량도 2만1,924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로 평상시 반출입량인 6만7,871TEU의 32% 수준까지 회복됐다. 국토부가 관리하고 있는 167개 사업장 중 이날까지 운송료 협상이 타결된 곳은 34개에 달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도 부산항 북항의 장치율은 86%까지 치솟고 인천항과 의왕ㆍ양산 내륙컨테이너기지(ICD)의 장치율도 좀체 떨어지지 않는 등 운송차질이 이어지고 있다. 화물연대는 이날 컨테이너운송사업자협의회(CTCA)와 벌인 네번째 협상에서 당초 요구안보다 크게 낮아진 21.5% 인상안을 비공식적으로 제시했으나 CTCA 측이 이를 거부했다. 양측은 향후 교섭 일정도 확정하지 못한 채 이날 헤어졌다. 하지만 서로의 협상안이 나왔고 19일 정부와 화물연대 간 협상이 남아 있는데다 정부가 적극 중재 의사를 표명해 양측이 다시 협상을 재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CTCA와의 협상 결과에 따라 운송거부 사태에 중대한 변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