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中 '성장'서 '물가' 선회…우리경제 영향은

"급격한 긴축정책 가능성 낮지만 위안화 절상땐 수출 타격 불가피"


중국 정부가 올해 경제정책의 무게중심을 '성장'에서 '물가'로 선회하며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단순하게 보면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성장률이 둔화될 경우 수출중심의 우리 경제에도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중국의 성장률 둔화는 어느 정도 예상된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홍춘욱 국민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은 지난해에도 8%대 성장률을 목표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10% 넘는 고성장을 달성했다"며 "올해도 중국의 성장률은 당초 예상치인 9%대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중국 정부의 목표 성장률은 더 이상 양보할 수 없는 이른바 '생명선'을 의미할 뿐 실제 성장률과는 괴리가 크다"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의 한 관계자도 "중국의 성장률 둔화는 어느 정도 예측된 만큼 아직까지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세계 주요 경제예측기관들이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보다 1%포인트 낮은 9% 초반으로 잡은 것도 이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리비아 사태로 유가가 급등하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실제 과감한 긴축정책을 행동으로 옮기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이 긴축정책으로 내수에 타격을 입는다 해도 대중국 수출의 절반 이상이 중간재인 우리 수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지식경제부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 대중국 수출의 대부분은 중국이 해외에 수출하는 완제품에 투입되는 중간재"라며 "따라서 중국의 내수가 둔화되더라도 우리 기업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오히려 중국의 주요 수출국인 미국ㆍ유럽 등 선진국의 경기둔화로 중국의 수출이 감소하는지 여부가 더 중요하다는 얘기다.. 한은은 지난해 12월 발표한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을 4.5%로 제시하면서 중국의 성장률이 지난해의 10.3%보다 1%포인트가량 낮은 9.2%를 기록할 것으로 전제했다. 우려하는 시나리오는 중국이 물가안정을 위해 긴축의 고삐를 조일 경우 우리나라 성장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1% 오를 경우 우리나라 수출이 1.9%포인트 정도 상승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반대로 중국의 경기가 둔화되면 수출위주의 성장을 해온 우리 경제도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셈이다. 여기다 중국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고 위안화 절상으로 이어진다면 원화 동반 강세로 수출 전반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견해도 있다. 전민규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지난해 우리나라가 6%대의 성장을 달성한 데는 수출의 힘이 가장 컸다"며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긴축은 우리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