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관절수술도 네비게이션 활용한다

각도·축등 컴퓨터에 입력, 환자에 알맞게 관절 접목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쪼그려 앉아 일을 하거나 생활하는 습관이 많다. 나이가 들면서 무릎에 이상이 오는 것도 좋지 못한 습관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무릎관절은 보행 시나 일상생활을 할 때 체중부하를 가장 많이 받는 곳으로 55세 이상은 20% 이상, 70세 이상은 대부분 퇴행성관절염을 앓고 있다. 증상이 시작되는 초기나 중기에는 적절한 약물치료와 적당한 휴식, 운동, 체중감량 등으로 관절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그러나 연골이 다 닳아 없어져 뼈와 뼈가 맞닿는 정도라면 심한 통증과 함께 안짱다리 등 관절변형까지 불러 보행을 어렵게 한다. 이처럼 심각한 퇴행성관절염에는 인공관절수술이 가장 적당한 치료법 중의 하나이다. 인공관절수술은 통증의 원인인 연골을 대체해주는 것으로 닳아 없어진 원래의 연골대신 인체에 해가 없는 새로운 연골을 무릎 사이에 끼워주는 방법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부터는 유럽이나 미국 등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새로운 수술법이 등장해 관심을 끈다. 인공위성으로 위치를 찾아내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활용한 인공관절 수술법이 바로 그것이다. 이 수술법은 자동차 운행 중 길을 잃었을 때 인공위성을 이용해 위치를 추적하는 원리처럼 관절염 수술을 할 때 응용하는 치료법이다. 수술을 하면서 컴퓨터에 연결된 투시카메라로 환자의 하지 정렬축과 관절면 등을 정확하게 계산해 치료한다. 종전에는 환자마다 각도가 다르게 굽은 다리를 단지 X-레이에 의존해 펴왔다. 하지만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수술 중간에 하지 축의 정확성은 물론, 각 방향에서 인공관절이 제대로 접목되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컴퓨터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수술은 환자의 관절조건과 해부학적인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시켜 모니터상 계측된 인공관절의 정확한 삽입 각도에 따라 환자의 정상적인 다리 축을 결정해 준다. 관절모양 그대로 인공관절을 대체할 수 있다는 말이다. 독일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나 현재 미국은 물론 영국ㆍ프랑스 등 유럽일대에 보급되어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