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남자 간호대생도 장교로 복무

훈련소 군의관 수당 신설·사병 민간병원 진료 가능<br>軍 의료체계 개선 후속조치

일반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남학생도 장교로 군 복무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와 육군은 지난주 군 의료체계 개선 후속조치를 위한 긴급 점검회의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의료체계 개선 중ㆍ단기 조치 방안'을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핵심 내용은 일반대학 간호학과의 남학생을 학사장교 또는 학군사관(ROTC) 등 장교로 군에 복무하도록 한다는 것. 현재 일반대학 간호학과에 2,200여명의 남학생이 재학 중이며 이들 중 대부분은 의무병으로 입대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연대와 대대급 부대에 간호장교가 부족해 약품관리 등도 쉽지 않다"며 "의무병으로 입대하는 간호학과 남학생들이 장교로 복무하게 한다면 야전부대의 의료체계가 크게 보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군 의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원인이 의료 인력의 절대적 부족에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군은 또 의료인력에 대한 사기 진작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우선 육군 논산훈련소와 사단 신병교육대에 근무하는 단기 군의관들에 대한 수당 신설과 근무지 배치 때 희망지역 우선권 부여 방안이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단기복무 군의관들에게 전문의료인이라는 자부심을 부여하기 위한 취지에 따른 것이라는 게 군의 설명. 군은 수당 신설에 예산이 수반되는 만큼 국회와 기획재정부 등에 취지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할 방침이다. 병사들의 진료 선택권을 최대한 보장해주는 방안도 단기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열이 심하거나 악성종양이 의심되고 군 병원 진료 장비로는 진단이 어려운 경우 지휘관 판단에 의해 청원휴가를 줘 민간병원에서 진료를 받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군은 진료체계 개선 단기 조치로 논산 육군훈련소의 군의관 4명을 지난 1일 증원한 데 이어 추가로 연내에 3명을 확보할 계획이다. 한편 현재 육군훈련소의 총 7개 연대에 군의관(중위) 각 1명이 근무하고 있는데 1개 연대마다 훈련병이 2,500명이어서 군의관 1명이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