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넘쳐나는 민간 자격증

매년 큰폭 증가 지난해 805종 달해<br>국가공인은 적어…신뢰도 향상 시급

민간 기관이 발행하는 각종 자격증이 800종을 넘어섰다. 그러나 교육과정 운영기관이 스스로 자격증을 발급하는 경우가 상당수여서 신뢰도 향상을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2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민간 자격증은 248개 기관에서 805종이 발급되고 있다. 2001년 459종, 2003년 546종 등 민간기관의 자격증 발급은 해마다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민간자격증 가운데 국가공인 자격증은 50개에 그쳐 전체의 6.2%에 불과했다. 반면 순수민간 자격 639종, 사업장내 자격 116종 등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직능원 설문조사에 따르면 올해 18개 기관에서 40개 민간 자격증을 추가로 발급할 계획이어서 민간 자격증의 급증 추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분야별로는 교육서비스업이 29.0%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21.1%), 사업서비스업(15.9%), 기타 공공, 수리 및 개인서비스업(10.3%), 오락, 문화 및 운동관련 서비스업(10.1%) 등의 순을 보였다. 박종성 직능원 직업연구본부 박사는 “전체 민간자격 가운데 2000년 이후 신설 종목이 57.5%를 점할 정도로 자격증 발급이 급증하고 있다”며 “민간자격의 공신력을 높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