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가R&D사업 성과활용 염두 추진해야"

과기부 설문조사…"성과활용 지원도 연구자 중심으로"

정부예산이 투입된 `국가 연구개발(R&D) 성과'가 제대로 실용화ㆍ산업화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R&D의 성과활용을 염두에 두지 않고 연구가 이뤄졌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과학기술부가 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 민간기업 등 이공계 관련종자사 1천18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6일부터 12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드러났다. 5일 과기부가 밝힌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가R&D성과의 활용이 미진한 이유는 `성과활용을 염두에 두지 않은 연구수행'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43.7%를 차지, 가장 많았다. 성과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바람직한 정부지원 방식을 묻는 질문에는 `실제로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나 연구기관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이 41.2%로 1위를 차지했다. 기술수요자인 기업중심이라는 응답은 23.4%로 2위였고 성과관리를 전담하는 별도기관을 설립해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도 22.3%에 달했다. 활용되지 않고 있는 기술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는 `사업화에 필요한 소요자금 지원'이라는 응답이 47.1%에 달했고 `사업화 관련 전문인력 양성' 23.2%, 데이터베이스화 등 관련 정보화 구축 22.8%, 전시회ㆍ설명회 등 홍보지원 6.9% 순이었다. 성과활용을 위해 연구자와 연구기관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에 대해서는`시장수요에 적합한 기술개발'이라는 응답이 38.8%로 가장 많았고 `성과활용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가치부여' 31.9%, `수요자와 네트워크 구축' 24.8%, `기술마케팅을 위한 협상능력 배양' 4.5% 순으로 나타났다. 과기부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국가R&D사업은 전주기적 성과중심의 연구관리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면서 "설문조사 결과를 연구성과 관리ㆍ활용 기본계획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내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