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6월 한국 소비자 물가상승률 OECD 평균보다 1.1%P 높아

30國중 6번째로 많이 올라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크게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상반기에 고환율을 유도하면서 유가상승이 물가에 미치는 파급력이 더 커진 반면 유럽연합(EU)ㆍ일본 등 선진국은 물가상승 압력을 줄이기 위해 자국의 통화절상을 유도하면서 이 같은 결과를 초래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4일 OECD의 ‘회원국 연간 물가 상승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 중 30개 회원국의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4%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5%로 OECD 회원국 평균과 1.1%포인트 격차를 보였다. OECD 회원국 중 선진국인 미국ㆍ영국ㆍ일본ㆍ독일ㆍ프랑스ㆍ캐나다ㆍ이탈리아 등으로 구성된 G7 국가의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1%에 머물렀다. 국가별로 보면 한국은 30개 회원국 중 여섯번째로 물가 상승률이 높았다. 아이슬란드가 12.8%로 1위였으며 터키 10.6%, 체코 6.7%, 헝가리 6.7%, 벨기에 5.8% 등의 순이었다. 한국은 멕시코(5.3%), 그리스(4.9%), 슬로바키아(4.6%), 폴란드(4.5%) 등 경제력이 비슷하거나 다소 부족한 국가들보다도 물가 상승률이 높았다. 일본은 2.0%로 물가 상승률이 가장 낮았고 네덜란드(2.6%), 스위스(2.9%), 캐나다(3.1%), 독일(3.3%) 등도 물가통제력이 우수했다. 사상 유례 없는 물가폭등을 겪고 있다는 점은 선진국 역시 마찬가지였다. 한국의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98년 11월(6.8%) 이후 9년7개월 만에 가장 높았으며 미국 17년, 독일 14년, 프랑스 17년, 영국 16년, 일본은 15년 만에 최고치였다. 에너지 가격 상승률 측면에서 한국은 같은 기간 22.3%로 5위였다. 한국보다 에너지 가격 상승률이 높은 나라는 벨기에(31.2%), 아이슬란드(28.9%), 미국(24.7%), 룩셈부르크(22.8%) 순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