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멸종 위기 제주 흑우 씨암소 복제 성공

박세필 제주대교수 연구팀

멸종 위기의 제주 흑우 씨암소 복제를 17년 만에 성공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2일 박세필 제주대 교수 연구팀과 ㈜미래생명공학연구소(소장 김은영)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복제수정란 초급속 냉ㆍ해동기술을 개발해 기존의 체세포 핵이식 방법과 접목해 제주 흑우 씨암소 '흑우순이(사진)'를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2009년 3월과 9월에 제주 흑우 씨수소인 '흑영돌이'와 '흑올돌이' 복제에 성공했다. 제주 흑우는 일반 한우와 달리 털색이 검은 한우의 한 품종으로 선사시대 이후 제주도에서만 사육돼온 토종자원으로 예부터 고기 맛이 우수해 고려시대 이후부터 임금님 진상품으로 올려졌다는 기록이 있다. 김은영 소장은 "흑영돌이와 흑올돌이는 복제수정란을 만든 뒤 곧바로 대리모 자궁에 이식했으나 이번 흑우순이는 복제수정란을 만든 뒤 -196도로 초급속 냉동 보관했다가 해동 후 대리모 자궁에 이식해 탄생됐다"고 밝혔다. 흑우순이는 지난해 10월31일 출생해 현재 8개월째로 체중이 150㎏에 이른다. 농식품부는 제주 흑우 씨수소에 이어 씨암소를 복원해냄으로써 앞으로 더 쉽게 제주 흑우의 우수형질 유전자 종을 보존하고 개량할 수 있는 대량생산 기반기술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기존에 2~5시간 걸리던 냉동시간을 15분으로 단축하고 해동시간도 1분으로 줄였으며 기존 50% 미만이었던 해동 이후 복제수정란 생존율도 80~90%까지 높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