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성조숙증 어린이 환자 4년간 4배 증가

최근 4년간 국내 성조숙증 어린이환자가 4배가량 급증했으나 치료율은 10%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손숙미 의원(한나라당)이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성조숙 실태조사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성조숙증 진료아동은 1만4,751명으로 2004년 2,795명보다 약 428% 늘어났다. 성조숙증은 사춘기 징후인 유방 발달, 음모 발달, 고환 크기 증가 등의 현상이 여아는 8세 이전, 남아 9세 이전에 나타나는 것으로 환자들은 성장판이 빨리 닫혀 키가 제대로 자라지 못할 수 있고, 유방암이나 조기폐경이 나타날 확률이 크다. 또 2004~2008년 국내 성조숙증 진료 아동은 총 3만9,422명중 여자어린이가 3만6,111명(91.6%)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치료아동수는 3,906명에 그쳐 진료 대비 치료아동수가 매년 10%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조숙증 아동의 체질량 지수를 분석한 결과 성조숙증 아동이 정상아동보다 체지방률과 체질량 지수가 높게 집계됐다. 손숙미 의원은 "최근 식문화가 발달하면서 아이들이 육류와 난류,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과다 섭취하면서 비만아동이 증가하고 있다"며 "비만아동들은 성조숙증에 쉽게 노출될 수 있어 평소 채소나 과일을 통해 비타민을 많이 섭취하고 균형잡힌 식단과 규칙적인 생활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