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소비자단체 옥죄는 자금난

최근 소비자 운동이 활성화되면서 기업들은 소비자단체의 일거수일투족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상품판매에 사활을 걸고 있는 기업들로서는 불만이 없을 수가 없다. 식품류를 생산하는 D업체의 영업책임자는 “소비자단체의 지적 하나하나가 영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경을 곤두 세울 수 밖에 없다”며 “하지만 그들의 판단능력에 의문이 없는 것은 아니다. 어설픈 결론으로 사소한 일을 크게 만들기도 한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이에 대해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황선옥 이사는 “항상 엄격한 확인작업을 거쳐 공표하고 시정을 요구한다”며 “조사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자기 잘못을 인정하기 싫다는 핑계일 뿐이다”고 반박했다. 실제로 기업들은 제품의 유해성여부에 대한 소비자단체 결정에 의구심을 갖고 있다. 소비자들의 불만을 대변한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장비나 시설도 변변하게 갖추지 못한 소비자단체들이 정확한 실험이나 분석을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문제는 운영자금 이다. 녹색소비자연대 등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소협)를 구성하고 있는 10개 단체만을 보더라도 재정이 그렇게 풍족하지 않다. 소비자단체들은 대략 정부보조, 자체 수익사업, 회원들의 회비 등으로 운영된다. 업무의 특성상 기업으로부터의 찬조금은 생각할 수도 없다. 단체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가장 큰 수입은 자체수익사업에서 나온다. 최근 소협 회원사들은 기자간담회를 갖고 올해의 중점사업을 발표했다. 소비자피해구제활동의 강화, 소비자안전확보 운동, 소비자교육 및 정보제공강화 등 모두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낄 실생활에 관한 내용이다. 하지만 재정확보에 대해서는 올해도 특별한 방안은 없다. 수익사업을 늘인다는 `희망사항`만 있을 뿐이다. 소비자운동도 `시민` 운동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 소비자운동에서 소비자는 교육과 홍보의 대상에 머물러 있다.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후원금을 기꺼이 낼 때만이 소비자 자신의 이익이 지켜질 수 있다면 이는 기자만의 지나친 생각일까. <최수문기자(사회부) chsm@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