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IPTV 도입, SO '악재' PP '호재'

SO, 통신업체와 가입자 확보경쟁 격화 '불리'<br>온미디어등 PP엔새사업기회 제공 '긍정적'


인터넷TV(IPTV)가 도입되면 케이블TV사업자(SO)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반면 콘텐츠제공업체(PP)들에는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분석됐다. 한익희 현대증권 연구원은 “IPTV가 본격적으로 출범하면 플랫폼 간 경쟁이 강화돼 가입자 확보 경쟁이 격화될 것”이라며 “SO는 가입 가구가 잠식되지만 PP의 선호도는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IPTV가 본격화되면 기존 케이블의 방송 플랫폼 영역에 KT와 하나로텔레콤 등 통신사업자들이 진출함에 따라 플랫폼 경쟁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로써 사업자들 간의 가입자 경쟁이 치열해지고 결국 콘텐츠 확보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PP와 지상파 사업자와 콘텐츠 제작업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IPTV법안은 당초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될 예정이었으나 연말 임시국회로 연기돼 2008년부터 도입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IPTV 출범이 SO들에 새로운 경쟁국면을 제공할 것으로 보이면서 현재 증시에 상장된 태광산업ㆍ큐릭스 등의 주가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반면 콘텐츠를 제작ㆍ유통하는 온미디어 등 PP 사업자들은 IPTV와 새로운 사업제휴를 맺을 가능성이 커지면서 기존 SO에 대한 지위 상승과 인수합병(M&A)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영화나 드라마 콘텐츠 제작업체 역시 수혜가 예상되지만 플랫폼들이 선별적으로 수용될 가능할 커 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한 연구원은 “IPTV의 등장은 미디어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를 몰고 올 수밖에 없고 플랫폼 사업자보다는 콘텐츠를 제작ㆍ보유ㆍ유통하는 사업자들에 유리한 상황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